학술논문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재환 심희철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207~21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롭테크 수요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평가 방식은 향후 각 지역의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 평가 시스템은 주제를 프롭테크, 스마트시티 리빙랩,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기획 등 3개 분야로 나눠 구축했다. 본 연구는 선정된 평가항목을 통해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각 항목의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스마트시티 사업과 관련된 전문가와 실무자들의 인식 결과에 따라 중요도가 결정된다. 분석 결과 프롭테크, 스마트시티 리빙랩,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기획은 평가 분야가 각각 0.609, 0.420, 0.410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방법론적 적용과 대안을 제시하고 활용도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춘 맞춤형 평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stablishes a system to evaluate smart city projects based on the demand for proptech. This tailored evaluation method can be used for projects in each region in the future. The eval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by dividing the topic into three sectors: proptech, smart city living lab, and smart city project planning. This study established an evaluation system through selected evaluation items, and calculated the importance of each item through this. The importance is determined by the recognition results of experts and practitioners related to smart city projec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valuation field was 0.609, 0.420, and 0.410 for proptech, smart city living lab and smart city project planning, respectively. Lastly, this study proposed a customized evaluation system with a focus on providing methodological applications and alternatives and verifying their utiliz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Overview of Smart City
Ⅲ. Smart City Living Lab and Proptech
Ⅳ. Research Methods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목차
- 일본 시가지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작품의 공간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주택구입부담지수(HAI)를 활용한 주택유형별 주택 구입부담 특성 연구
- 중국 민법전을 통해 본 저당권의 특징
- 제주도 가구의 공동주택 주거 선호요인 분석
- 미시적인 초등학교 통학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한옥의 내화 및 방충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세사기 유형별분석 및 해결방안
-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영향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신탁공매시 우선수익자의 채권회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