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3
- 영문명
- A Study on the Social Housing Preference Trend in Da Nang, Vietnam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정재한 최용택 이현수 고세범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131~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베트남은 주택부족 및 저소득측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주택법 개정 등을 통해 사회주택 공급 확대를 추진 중이며, 베트남 서민층 사회주택 수요의 지속적 증가로 2020년 이후 약 100만호의 사회주택 추가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다낭시간 MOU를 근간으로 국토교통부의 지원을 통해 2020~2021 2년간 수행된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타당성 조사”를 바탕으로 베트남 및 다낭시의 사회주택 개발현황, 관련 법률 및 부동산 시장조사, 현지 다낭 시민을 대상으로 시행된 주택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였고, 다낭시가 제안한 시범사업 후보지에 대한 개발여건 분석 및 적정 분양가 산정을 통해 사회주택 공급에 관한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실증사업 추진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사 및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다낭시는 2030 다낭시 마스터플랜 Vision 2050에 따라 2030년까지의 사회주택 공급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썬짜군과 리엔찌어우 군에 집중되어 균형공급이 필요하다. 둘째, 다낭시가 제시한 후보지를 분석한 결과 입지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며, 주택법에서 제시하는 개발자 이익 10%를 감안하여 산정된 분양가는 현재 공급된 주변 사회주택 시세 대비 적정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셋째, 873명의 다낭시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는 사회주택 공급 대상자이며, 94% 이상의 주택 구매 의사를 보였으며, 단지내 부대시설로 판매 및 교육시설을 가장 선호하여 이를 고려한 단지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사업화를 위해서는 다낭시민이 선호하는 사회주택 단지 및 주택평면을 개발하고, 현지기업과 합작회사 설립 검토 및 공사비 경쟁력 구비 등 적정 사업구조 확보에 관한 계획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Vietnam is pushing to expand the supply of social housing by revising the Housing Law to improve the housing shortage and living environment for low-income people. Due to the continuously increasing demand for social housing among low-income households in Vietnam, there is a need to provide about 1 million additional social housing units after 2020. This study is based on a feasibility study from 2020 to 2021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ollowing the MOU between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nd Da Nang City in 2019. The study analyzed social housing laws and a housing preference survey conducted among local Da Nang residents, analyzed development conditions for the pilot project candidate site proposed by Da Nang City, and calculate the appropriate sales pri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problems and implications and suggest directions for promoting demonstration social housing projects in Da Nang. To summarize the survey results, first, Da Nang City has established a social housing supply plan until 2030 according to the Da Nang City Master Plan Vision 2050, but it is concentrated in Son Tra and Lien Chiau districts, which requires a balanced supply. Second, the location of the candidate site was judged to be competitive, and the sales price, which was calculated taking into account the developer's profit of 10% as suggested by the Housing Law, was verified to be reasonable compared to the market price of currently supplied social housing in the surrounding area. Third, as a result of a survey of 873 Da Nang citizen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eligible for social housing without paying income tax, and more than 94% showed an intention to buy a house. For the actual project, it should be accompanied by a plan for an appropriate business structure, such as developing the social housing type preferred by Da Nang citizens, exploring the establishment of joint ventures with local enterprises, and ensuring competitiveness in construction cos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다낭 사회주택 공급여건
Ⅳ. 시범사업 분양가 산정
Ⅴ. 다낭 사회주택 수요 및 선호도 설문조사
Ⅵ.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목차
- 일본 시가지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작품의 공간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주택구입부담지수(HAI)를 활용한 주택유형별 주택 구입부담 특성 연구
- 중국 민법전을 통해 본 저당권의 특징
- 제주도 가구의 공동주택 주거 선호요인 분석
- 미시적인 초등학교 통학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한옥의 내화 및 방충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세사기 유형별분석 및 해결방안
-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영향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신탁공매시 우선수익자의 채권회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