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bscriber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Title Insurance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조은숙 정쾌호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77~8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부동산권리보험은 부동산 거래 시 해당 부동산 및 거래과정에서의 예상치 못한 하자를 담보하는 보험으로서 사적인 영역에서의 거래보호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일반화된 보험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시행 초기에 그 시행여부를 놓고 다소 회의적인 반응이었다. 부동산권리보험은 부동산 거래 시에 부동산의 소유권과 저당권에 대한 등기의 내용이 사실과 같다는 것을 인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등기제도는 등기된 사실에 대하여 그 추정력을 인정할 뿐 공신력을 전혀 인정하지 않으므로 진정한 권리관계와 등기 사실이 일치하지 않는 부실등기가 적지 않게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권리보험은 부동산 등기제도의 단점을 일정 부분 보완할 수 있는 제도로 그 유용성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권리보험에 가입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367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국내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설문문향은 부동산권리보험 이용경험 등 네가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Real estate title insurance is an insurance that covers unexpected defects in the real estate and transaction process during real estate transactions. Although it is a generalized insurance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Korea was somewhat skeptical about whether to implement it at the beginning of its implementation.
Real estate title insurance plays a role of acknowledging that the contents of the registration of the ownership of real estate and mortgages are the same in the case of real estate transactions. Korea's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only recognizes the presumptive power of the registered facts, but does not recognize the public confidence at all. Therefore, the usefulness of real estate title insurance can be highly evaluated as a system that can partially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In order to confirm thi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al estate title insurance subscribers were examined by targeting the responses of 367 ordinary people who had purchased real estate title insurance.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four parts, including the experience of using real estate rights insur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설정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목차
- 일본 시가지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작품의 공간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주택구입부담지수(HAI)를 활용한 주택유형별 주택 구입부담 특성 연구
- 중국 민법전을 통해 본 저당권의 특징
- 제주도 가구의 공동주택 주거 선호요인 분석
- 미시적인 초등학교 통학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한옥의 내화 및 방충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세사기 유형별분석 및 해결방안
-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영향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신탁공매시 우선수익자의 채권회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