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이용수 127
- 영문명
- Analysis of Quality of Life Differences by Population,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People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서경숙 김재태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고령자가 처한 환경은 사회활동이 적어지고 교류도 활발하지 않으며, 특히 경제활동도 충분 하지 못하여 보유 자산에 의존하여 살아갈 수밖에 없는 처지에 있다. 이것은 결국 삶의 질이 인구학적 특성, 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별로 다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인구학적 특성, 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별로 중고령자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은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혼인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거주형태, 거주지역, 주관적 계층의식, 만남 횟수, 모임(종교, 친목, 동창회) 참여여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경제적 일반특성인 주택점유 형태, 거주외부동산 유무, 경제활동 유무, 개인총소득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제력인 자산보유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총부동산자산, 총금융자산, 기타자산, 개인총자산, 본인총부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가구매 대출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구특성이나 사회학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 등의 상황 변화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상황에서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개선을 하기 위한 범정부 및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함도 언급하는 것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environment in which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face fewer social activities and exchanges are not active. In particular, the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no choice but to live on their assets due to insufficient economic activities.This indicates that the quality of life may vary by demographic,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dence, residence area,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number of meetings, and participation in meetings (religion, fellowship, alumni associ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f housing occupancy,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n-residential real est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conomic activity, and individual gross income.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sset holdings, which are economic pow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real estate assets, total financial assets, other assets, total personal assets, and total personal liabil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purchased loans. Thes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hanges in the situation, such as population characteristics,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It can be said that it also mentions the need for efforts by the pan-government and society as a whole to improve factors that can be improved in these situ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목차
- 일본 시가지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작품의 공간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주택구입부담지수(HAI)를 활용한 주택유형별 주택 구입부담 특성 연구
- 중국 민법전을 통해 본 저당권의 특징
- 제주도 가구의 공동주택 주거 선호요인 분석
- 미시적인 초등학교 통학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한옥의 내화 및 방충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세사기 유형별분석 및 해결방안
-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영향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신탁공매시 우선수익자의 채권회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