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
- 영문명
- Effects of Direction of the Gaining Water and Draining Water on Apartment Sales Price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손갑주 전해정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91~10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대문구 정능천 변 아파트를 중심으로 물길이 흘러나가는 거수방향과 물길이 들어오는 득수방향이 아파트 실거래 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를 헤도닉 가격모형(Hedonic Pricing Me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는 아파트 실거래 가격을 이용하였고. 독립변수로는 득수방향, 거수방향, 경과 연수, 거래 층, 동 수 지하철역 거리, 초등학교 거리, 중학교 거리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득수방향이고 경과연수와 동 수가 많고 거래층이 높을수록 아파트 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거수방향이고 지하철역, 초등학교, 중학교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아파트 실거래 가격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득수방향이 거수 방향보다 아파트 실거래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he direction of the gaining water and draining water in the apartment along the Jeong-neung stream in Dongdaemun-gu affect the apartment sales price using the Hedonic Price model.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actual apartment sales pric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irection of water extraction and draining water , elapsed years, the trading floor, the number of apartments building, the distance subway statio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direction of gaining water, the higher number of elapsed years, the higher number of apartments building and the higher the trading floor had a positive (+) effect on apartment sales price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direction of the draining water and the farther the distance to the subway statio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negative (-) effect on the apartment sales pri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목차
- 일본 시가지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작품의 공간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주택구입부담지수(HAI)를 활용한 주택유형별 주택 구입부담 특성 연구
- 중국 민법전을 통해 본 저당권의 특징
- 제주도 가구의 공동주택 주거 선호요인 분석
- 미시적인 초등학교 통학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한옥의 내화 및 방충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세사기 유형별분석 및 해결방안
-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영향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신탁공매시 우선수익자의 채권회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