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Index (HAI) on the Local Housing Sales Market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구정아 김성길 이용희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51~5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라북도 주택매매시장을 대상으로 전국 주택구매력지수의 변화가 수도권과 이질적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는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본 연구의 주요 변수들의 시계열적 관측 특성을 고려하여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의 주택가격이 급등하여 주택투자자들의 수도권 주택시장에 대한 투자여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가격적 메리트가 높은 지방 주택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택구매력의 변화에 따른 효과는 주로 지방거점 도시의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지방 주택시장은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통한 소득 증가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전라북도의 총인구는 경제의 수도권 집중현상에 의해 점차 유출되고 고령화 추이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거점 도시인 전주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등 지역적 특성에 따라 주택매매시장은 큰 차이를 보일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주택시장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와 다르게 경제성장을 제외한 이자율 등 주요 거시경제변수의 변화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 주택가격은 수도권과 비교하여 가격수준이 매우 낮아 투자재 혹은 인플레이션 헷지로서의 메리트가 높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national housing purchasing power index on the local housing sales market, which is recognized as a heterogeneous market with the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time-series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The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housing prices in the metropolitan area soar and housing investors' investment capa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decreases, it is estimat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the local housing market with relatively high price benefit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e change in housing purchasing power is expected to occur mainly in the housing market in local hub cities.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local housing market is most affected by income increase through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Third, the total population of Jeollabuk-do is expected to gradually flow out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conom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trend of aging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However, Jeonju, a hub city, is expected to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using sales market depend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ntinuous influx of population. Finally, unlike the results of a study conducted on the housing marke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anges in major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interest rates excluding economic growth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result is judged to be because local housing prices have a very low price level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so the merit as investment goods or inflation hedging is not high.
목차
Ⅰ. 서 론
Ⅱ. 주택구매력의 개요와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목차
- 일본 시가지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작품의 공간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주택구입부담지수(HAI)를 활용한 주택유형별 주택 구입부담 특성 연구
- 중국 민법전을 통해 본 저당권의 특징
- 제주도 가구의 공동주택 주거 선호요인 분석
- 미시적인 초등학교 통학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한옥의 내화 및 방충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세사기 유형별분석 및 해결방안
-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영향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신탁공매시 우선수익자의 채권회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