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이용수 35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n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in University Cooperative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장영석 홍성조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103~11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은 매우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이 학교안에 부지를 제공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설·운영하는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사업이 도입되었다. 이는 공공임대주택이면서, 학교에 있는 학생들의 생활공간이라는 측면에서 기숙사의 성격도 가진다. 즉, 기존에 없던 새로운 유형의 주택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협력형 행복주택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최초로 건립된 충북대학교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이며, 비교를 위하여 충북대학교 내 2개의 기숙사를 함께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구축된 환경요소별 만족도를 요인분석하여 도출된 요인점수를 독립변수로, 총체적 주거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만족도에는 개인 공간의 만족도가 큰 영향을 미쳤으나, 공용 공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접근성과 관련한 입지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협력형 행복주택과 기숙사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housing cost burden of young people is very large. Under this circumstance, the University Cooperative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UCHP) was introduced, in which the university provided the site and the LH was in charge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While this is a public rental housing,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dormitory in terms of living space for students in the university. In other words, it is a new type of housing that did not exist before, and research on this is necessary. However, research on UCHP is ver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of UCH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UCHP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which was built for the first time, and two dormitories were analyzed together for comparis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factor scores derived from factor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private spac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UCHP, but the public space had no effect. Second, location factors related to access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between UCHP and dormito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住居環境 제21권 제1호 (통권 제59호) 목차
- 일본 시가지재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득수와 거수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프랙탈 기하학 차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작품의 공간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협력형 행복주택의 총체적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주택구입부담지수(HAI)를 활용한 주택유형별 주택 구입부담 특성 연구
- 중국 민법전을 통해 본 저당권의 특징
- 제주도 가구의 공동주택 주거 선호요인 분석
- 미시적인 초등학교 통학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한옥의 내화 및 방충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세사기 유형별분석 및 해결방안
-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영향요인 연구
- 중고령자의 인구·사회·경제 특성별 삶의 질 차이 분석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Based on Proptech Technology Demand
- 신탁공매시 우선수익자의 채권회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동산권리보험의 가입자 특성에 관한 연구
- 전국 주택구매력지수(HAI)의 변화가 지방 주택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다낭시 사회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