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이용수 170
- 영문명
- A study on a direction ofart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숙 송다원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4號, 134~164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에서 미술이 교과 통합의 역할로 제한되어 있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미술교육 분야에서 평화·통일교육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 및 현장 실천 방향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평화·통일 미술교육의 개념과 핵심역량을 델파이조사를 통해 도출하였으며,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평화 감수성 역량, 남북한 문화 이해 역량, 창의적 한반도 소통 역량, 자기 주도적 평화 표현 역량’의 네 가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평화·통일 미술교육의 적용을 위해 네 가지 핵심역량이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실천 방향을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foundation for theories and practice of art education for peace and reunification. With the Delphi method, this study proposes four core competencies of art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peace sensitivity,” “understanding of North and South Korean culture,” “creative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self-directed expression of peace.”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rt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allows imagination of images of peace in daily life and internalization of related values. Second, it approaches unification from a cultural viewpoint instead of political, and fosters visual/media literacy to help establish a new perspective towards art on North Korea and unification. Third, artistic activities are used to draw students’ interest, and exhibition programs to boost voluntary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평화·통일 미술교육
Ⅳ.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향방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젊은이들의 시각 이미지에서의심미적 취향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콜라주를 활용한 자화상 제작 수업이 미술 영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보편적 학습설계의 미술과 적용가능성 탐색
- 디자인씽킹 기반 교양수업의 대학핵심역량 증진에 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국내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예비미술교사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개념 기반 수업 설계 사례 연구
-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초등미술교육에서 재매개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학습상황에서의 목표기반 시나리오 적용 미술 수업사례 연구
- 미술 경매 활용 감상 활동이 미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
- 미적 체험이 일어나지 않음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교육자로서의 예술가
-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실행연구를 통한 현장실습 개선 방안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