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자인씽킹 기반 교양수업의 대학핵심역량 증진에 대한 연구
이용수 262
- 영문명
- A Study of promo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general elective subjects in universities, based on design thinking: Based on example of University C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조성옥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4號, 27~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의 수업 효과와 대학핵심역량 증진에 대한 기초적 자료 제공함과 동시에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키우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양과목인 ‘디자인씽킹’ 교과목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총 15주 수업을 비대면 수업 9주와 대면 수업 6주를 통하여 운영하였다. 대학핵심역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핵심역량을 기본으로 한 반구조화 면담방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윤리의식의 포용과 배려, 공동체 의식과 창의융합의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씽킹 기반의 교수방법은 문제해결중심의 창의융합교육으로 대학핵심역량을 개발하는데 효과적이었고 다른 분야와의 융합도 가능하다. 미래의 직업인으로서 더 나은 삶을 위하여 대학핵심역량과 문제해결중심의 혁신적인 교수방법은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core competency of C university through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Design Thinking' subject, a elective subject, was operated through a total of 15 weeks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6 weeks of 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 in the core competency of C University,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of C University. The core university competency of University C is composed of 4 competencies and 9 sub-factors. According to C University's core competency, the most improved part of the students' ability after one semester of the elective coarse of Design Thinking is embracement and consideration of ethic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reative convergenc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design thinking-based teaching method is a problem- solving-oriented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effective in developing core university competencies, and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is possible. For a better life as a future professional,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oriente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디자인사고와 대학핵심역량
Ⅲ. 디자인씽킹 기반의 대학핵심역량 수업 사례분석
Ⅳ. 디자인씽킹 기반의 대학핵심역량 효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젊은이들의 시각 이미지에서의심미적 취향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콜라주를 활용한 자화상 제작 수업이 미술 영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보편적 학습설계의 미술과 적용가능성 탐색
- 디자인씽킹 기반 교양수업의 대학핵심역량 증진에 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국내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예비미술교사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개념 기반 수업 설계 사례 연구
-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초등미술교육에서 재매개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학습상황에서의 목표기반 시나리오 적용 미술 수업사례 연구
- 미술 경매 활용 감상 활동이 미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
- 미적 체험이 일어나지 않음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교육자로서의 예술가
-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실행연구를 통한 현장실습 개선 방안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