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미술교육에서 재매개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al use of Remediat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강주현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4號,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매체 융합에 대한 사고를 재매개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재매개를 통한 매체 융합적 표현이 초등미술교육에서 어떻게 창의적 표현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매개는 기존의 매체를 개조하거나 융합하여 새로운 미디어로 확장되는 개념으로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의 이중논리로 작용하는데, 이는 매체의 혼성과 융합의 과정으로 나타난다. 포스트모더니즘 조각의 혼성 공간에서 나타나는 매체 혼성적 표현과 동시대 매체 인식의 영역을 물질-비물질로 확장시켜 매체 융합적 표현으로 발현되는 포스트-미디엄은 미술교육의 표현 영역에서 매체의 통합과 융합적 표현의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관점으로 초등미술교육에서 재매개는 매체 융합을 통한 창의적 표현으로 연결된다. 제주 금악초등학교에서 진행한 미술수업 사례를 통한 회화와 디지털 화면 이미지, 디자인적 요소 간의 융합과 공간의 관찰과 표현에서 나타나는 다중화는 재매개 자아를 형성하며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ry of media conver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remediation and to study how media convergence expression in remediation can be used as a creative way of express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Remediation is used here as the concept of modifying or converging existing media and extending them to new media, acting as a dual logic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which manifests itself as a process of hybridity and a convergence of media. Post-medium, which appears in the hybrid space of postmodernist sculpture, expands the field of media hybrid expression and contemporary media perception to the material-immaterial, and manifests itself as a media convergent expression and has the meaning of media integration and convergent expression in the field of expression in art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media convergence expression used in remediation forms the remediated self and enables convergent thinking based on crea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재매개의 이중논리
Ⅲ. 재매개와 매체 융합적 표현
Ⅳ. 재매개의 초등미술교육 활용 사례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젊은이들의 시각 이미지에서의심미적 취향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콜라주를 활용한 자화상 제작 수업이 미술 영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보편적 학습설계의 미술과 적용가능성 탐색
- 디자인씽킹 기반 교양수업의 대학핵심역량 증진에 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국내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예비미술교사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개념 기반 수업 설계 사례 연구
-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초등미술교육에서 재매개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학습상황에서의 목표기반 시나리오 적용 미술 수업사례 연구
- 미술 경매 활용 감상 활동이 미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
- 미적 체험이 일어나지 않음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교육자로서의 예술가
-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실행연구를 통한 현장실습 개선 방안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