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실행연구를 통한 현장실습 개선 방안 고찰
이용수 1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in Culture & Art Education Field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은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4號,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에 대한 실행연구를 통해서 교육과정 운영상의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실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교수자이자 연구자로서 교수·학습 실행을 통해서 가지게 되는 성찰과 기록, 학습자들의 실습 경험을 성찰한 실습일지와 결과보고서, 실습 경험에 대한 질문지 답변, 결과 발표에 대한 질의·응답 내용, 실습 기관 교육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교수·학습 실행을 통해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교육 담당자와 교수자는 실습생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사전 수요조사 등을 통해 실습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실습 시간의 확대 및 유연한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장실습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수자와 기관의 교육 담당자가 지속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이 원하는 업무에 대한 일목요연한 제시를 위해서 현장의 변화를 반영한 매뉴얼을 배부하고 이를 공유 채널을 통해 사전에 공유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다섯째, 실습기관의 다양화를 위해서 교육기관 차원에서는 실습 기관과의 협약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실습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고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의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an implementation study on the subject of .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s educational personnel and instructors need a close understanding of the trainees, and for this purpose, prior demand surveys can be used. Second, the practice time should be expanded and flexible operation should be achieved.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ield practic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instructors and institution's educational personnel. Fourth, it is possible to propose a plan to distribute manuals reflecting changes in the field and share them in advance through shared channels. Fifth, in order to diversify training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at the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help ensure stable practice operation through the conclusion of agreements with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expand the scale of support in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과 현장 실습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젊은이들의 시각 이미지에서의심미적 취향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콜라주를 활용한 자화상 제작 수업이 미술 영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보편적 학습설계의 미술과 적용가능성 탐색
- 디자인씽킹 기반 교양수업의 대학핵심역량 증진에 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국내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예비미술교사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개념 기반 수업 설계 사례 연구
-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초등미술교육에서 재매개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학습상황에서의 목표기반 시나리오 적용 미술 수업사례 연구
- 미술 경매 활용 감상 활동이 미적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
- 미적 체험이 일어나지 않음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교육자로서의 예술가
-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실행연구를 통한 현장실습 개선 방안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