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이용수 24
- 영문명
- A Search for Mathematics Teaching Models for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서동엽(Seo, Dong Yeop)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3호, 407~4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11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수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학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현장 교원들의 만족도와 활용 정도, 요구 사항을 알아보았다. 현행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는 약 80%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용 빈도는 학기 당 또는 단원 당 1회 정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교과 중에서는 사회와 과학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 수업에 활용하기 편리하다는 점을 들었다. 수학 수업 모형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의 다양한 내용 영역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수준별 차이를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직접 교수법 등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satisfaction, availability, and needs, based on the mathematics teaching models in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The satisfaction on current mathematics teaching models is about 80%, but the frequency of usage of the models is a bit low because the models are used once a unit or a semester. Among other subjects, the teachers prefer the teaching models of social studies or science, because the models are convenient in applying models to their teaching. We proposed a few ideas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mathematics teaching models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n a variety of content areas of mathematics, students' differences of their mathematics level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mathematics curriculu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문장 분석
- 수학용어에 대한 논쟁을 통해 본 비(比)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차
-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귀납적 방법 대 문제해결식 방법 -
- 『유클리드 원론』Ⅰ권 정리 22의 Diorism을 통해서 본 존재성
- 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 학교수학이란 무엇인가?
- 수학 인지적 속성에 따른 TIMSS 2011 8학년 성취도 상위국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