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이용수 21
- 영문명
- Levels of Elementary Mathematics Underachievers’ Understanding of Place Valu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혜원(Chang, Hyewon) 임미인(Lim, Miin) 강태석(Kang, Teaseok)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3호, 347~3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 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선수학습요소의 결여가 하나의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수학 학습부진의 원인으로 자릿값 이해의 결여 가능성을 고려하여,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을 분석하고, 그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자릿값 개념의 과제 유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학 학습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3학년 학습부진아 10명을 대상으로 자릿값 개념 이해 검사인 SToPV를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이전 학년에서 자릿값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릿값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 유형에 있어서도 경향성이 있음이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개념 진단과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are a lot of causes of under-achieve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one of which may be lack of previous learning elements. We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place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derachievers’ levels of understanding of place value concepts and to find the types of place value tasks that they have had special difficulty. For this purpose, an individual test called as “the Six Tasks of Place Value(SToPV)”was applied to ten third grade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 The test is a type of place value concept tests and requires one-on-one interview with some preparation materials. The participants’ reaction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by Berman(2011).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ird grade mathematics underachievers tend to have a great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place value concepts. Also the types of difficult tasks were various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Based on the test results and discussion,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diagnosing place value concepts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문장 분석
- 수학용어에 대한 논쟁을 통해 본 비(比)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차
-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귀납적 방법 대 문제해결식 방법 -
- 『유클리드 원론』Ⅰ권 정리 22의 Diorism을 통해서 본 존재성
- 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 학교수학이란 무엇인가?
- 수학 인지적 속성에 따른 TIMSS 2011 8학년 성취도 상위국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