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이용수 20
- 영문명
-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201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동(Jo, Yun Dong) 고호경(Ko, Ho Kyou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3호, 281~3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서답형 문항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살펴보기 위하여 236개 학교 8007명의 답안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문항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 서답형 문항으로 내용 영역은 ‘문자와 식’, ‘함수’이고 행동 영역은 ‘문제해결’과 ‘계산’이다. 두 문항 모두 주어진 문제 상황에 알맞은 식을 세우고 조건에 맞는 결과를 산출하는 문제이다. 분석 결과 각 문항에 따라 문제 상황을 파악하여 식을 세우고, 풀며, 결과를 기술하는 세 가지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여 교수학적 시사점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current study, answer sheets from 8007 students in 236 Korean schoo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examine errors that emerge in the process of solving descriptive questions of the National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in mathematics. Questions used in the analysis were response assessment cover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opics: “mathematical symbols and equations” and “functions.” The behavioral domain of the questions was that of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 which requires establishing an equation for a word problem and allows the calculation of an answer that meets a certain condi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various errors in each stage of each question, from understanding to solving; the study attempts to conjecture causes for these errors and draw pedagogical implicat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문장 분석
- 수학용어에 대한 논쟁을 통해 본 비(比)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차
-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귀납적 방법 대 문제해결식 방법 -
- 『유클리드 원론』Ⅰ권 정리 22의 Diorism을 통해서 본 존재성
- 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 학교수학이란 무엇인가?
- 수학 인지적 속성에 따른 TIMSS 2011 8학년 성취도 상위국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