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An Analysis on Abduction Type in the Activities Exploring ‘Law of Large Number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경(Lee, Yoon-Kyung) 조정수(Cho, Cheong-So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3호, 323~3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계적 추론과 가추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Peirce의 가추법, Eco의 가추법 유형, Toulmin의 논증패턴을 바탕으로 통계 수업담화를 분석한 결과, 가추법에 해당하는 수업담화에는 과대 코드화된 가추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를 유도하는 과소 코드화된 가추법과 새로운 법칙이나 이론을 만드는 창조적 가추법은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추론과정에 사용된 계산기는 추상적 확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맥락을 통해 학생들이 추론을 중심으로 한 논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통계 수업에서는 가추법에 대한 이해와 함께 도구를 이용한 통계적 맥락 형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abduction appeared in the exploration activities of ‘law of large numbers’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 between statistical reasoning and abduction. When the classroom discourse of students was analyzed by Peirce’s abduction, Eco’s abduction type and Toulmin’s argument pattern, students used overcoded abduction the most in the discourse of abduction. However, there composed a low percent of undercoded abduction leading to various thinking, and creative abduction used to make new principles or theories. By the CAS calculators used in the process of reasoning, students were provided with empirical contex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bstract probability, through which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rgumentation centered on the reaso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ot only to understand the abduction, but to build statistical context with tools in the learning of statistical reasoning is importa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문장 분석
- 수학용어에 대한 논쟁을 통해 본 비(比)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차
-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귀납적 방법 대 문제해결식 방법 -
- 『유클리드 원론』Ⅰ권 정리 22의 Diorism을 통해서 본 존재성
- 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 학교수학이란 무엇인가?
- 수학 인지적 속성에 따른 TIMSS 2011 8학년 성취도 상위국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