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 여가공간의 장소성 포지셔닝

이용수 35

영문명
Positioning on Sense of Place at Urban Leisure Space
발행기관
관광경영학회
저자명
박미현 한울 윤희정
간행물 정보
『관광경영연구』17권 제1호, 161~17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rban leisure spaces have been functioned as residents' life spaces and tourists' attractive spaces as some parts of city space and have been relevant to the sense of place of city. For these reason,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sense of place at urban leisure space. The Namyangju-city and the Yangpyeong-gun were selected as the study sites, two hundred eleven residents and visitors responses are analyzed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This study finds that the natural attributes are dominant in two region and residents cognition are more positive than visitors.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 regional cognition level affect the sense of place of each region. Finally, traditional, unique and identified adjectives are related to the sense of place at leisure space, but the additional research about visual positioning is needed about urban leisure spa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범위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현,한울,윤희정. (2013).도시 여가공간의 장소성 포지셔닝. 관광경영연구, 17 (1), 161-177

MLA

박미현,한울,윤희정. "도시 여가공간의 장소성 포지셔닝." 관광경영연구, 17.1(2013): 161-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