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structional Design of Mathematical Modeling for Group Creativity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윤(Jung Hye-Yun) 이경화(Kyeong-Hwa, Lee)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9권 1호, 157~18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활동으로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제안하고, 개발 연구의 예비설계와 교수실험 단계에 해당하는 수업 설계 과정 및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검토를 통해 집단창의성의 의미와 발현과정, 발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뒤, 집단창의성 발현과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수학적 모델링에서 집단창의성 발현 가능성과 집단창의성 발현이 수학적 모델링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후 수학적 모델링 과제와 교수·학습과정안, 그리고 활동지 등의 구체적인 자료를 개발한 뒤, 전문가 평가와 교수실험을 통해 내용 타당성과 실제 적용가능성을 높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집단창의성 발현과정 모델과 수학적 모델링 과정을 토대로,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설계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propose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as an activity to develop group creativity, and present a lesson design process and its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preliminary design and teaching experiment stage of a development study.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the meaning of group creativity, the development process of group creativity,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were identified. Next, we present the model of the group creativity development process.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group crea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and the positive effect of group creativity on mathematical modeling.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developed the mathematical modeling task,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and the student's worksheets. In this sense, it is noted that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and the teaching experiment, the validity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contents were improved. As a result, we designed a mathematical modeling instruction for group creativ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수업의 설계
- 극한과 나눗셈 연산은 교환이 가능한가?
- 일제강점기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연구
- 실진법에서 19세기 초의 극한법으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
- ‘역 분수 문제’에 관한 6학년 학생들의 해결 방법 분석
- 수학체험전을 운영한 중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 변화
- 남한의 2015 수학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수학과 교수요강의 비교
- 중학교에서 변이 이론을 적용한 탱그램 활용 방안 탐색
- 2015 개정 <미적분> 교과서의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서술 내용 분석 및 제언 - <수학Ⅱ>와의 연계성 관점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