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들의 다양한 맥락에서 미분계수 과정-대상 이해에 대한 사례 연구

이용수 8

영문명
High School Students’ Process-object Understanding of Derivatives at a Point in Multiple Contexts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현(Lee Jihyun) 이기돈(Gi Don Lee)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학연구』제29권 4호, 481~50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곱 고등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를 다양한 맥락(기호, 그래프, 수치/언어, 물리, 응용 맥락) 및 과정-대상 다층 구조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각 맥락에서 비율-극한 층의 과정-대상 이해를 진단하기 위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기호․그래프․물리적 맥락에서 비율 층에 대한 구조적 인식을 보였던 학생들도 평균변화율 값이 두 변화량의 곱셈적 비교 결과라는 점에 대해 이해가 부족했다. 한편 극한 층에 대하여, 일부 학생들은 극한 과정을 상기하지 못하거나 그 일부만을 상기하는 등 불완전한 이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양상을 통하여, 비율-극한의 다층 구조 및 다양한 맥락의 학습 기회와 관련하여 현행 미분 교수 학습이 어떤 측면이 부족한지를 진단하는 것은 미적분 교육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plore seve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derivatives at a point in terms of multiple contexts (symbolic, graphic, numerical/verbal, physical, applied contexts) and also the process-object layers. Student participants who demonstrated a structural conception of the ratio layer in symbolic, graphic, and physical contexts revealed a weak understanding of rate values as the results of comparing two quantities multiplicatively. As for the limit layer, some participants failed to think of the limit process, or could only think of the partial limit process. The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may suggest, in terms of multiple contexts and the process-object layers, which aspects are lacking in current high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of derivativ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현(Lee Jihyun),이기돈(Gi Don Lee). (2019).고등학생들의 다양한 맥락에서 미분계수 과정-대상 이해에 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9 (4), 481-506

MLA

이지현(Lee Jihyun),이기돈(Gi Don Lee). "고등학생들의 다양한 맥락에서 미분계수 과정-대상 이해에 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9.4(2019): 481-5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