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北으로 간 安南國王 陳益稷
이용수 48
- 영문명
- Tran Ich Tac “King of Annam” went to China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윤승연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85집, 273~30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3~14세기 베트남 陳왕조 시기 몽골-元과의 전쟁 과정 중 元에 투항한 인물로서 ‘安南國王’으로 책봉 받는 陳益稷에 대해 살펴보았다. 몽골의 南宋 정벌이 종료된 이후 베트남에 대한 정벌이 시작되며 陳왕조 측에서는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논의되었다. 몽골은 당시 베트남에 대해 복속의 조건으로 ‘六事’를 제시했는데 그중에서도 ‘親朝’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陳왕조가 이를 거부하자 쿠빌라이는 베트남 측에서 사절로 파견한 종친 陳遺愛를 安南國王에 임명한다. 이러한 元의 행보는 이후 陳益稷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陳益稷 역시 양국의 전쟁 과정 중 元에 투항하여 ‘安南國王’으로 책봉되는 것이다.
陳益稷의 투항 원인에 대해 몽골의 내부 정세 파악을 위해서였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陳益稷은 당시 투항 이유에 대해 쿠빌라이에게 陳왕조의 영토와 종묘사직을 지키기 위함이라고 이야기했지만 어디까지나 이는 그 자신 투항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수사일 뿐이다. 그는 일찍부터 남다른 야욕을 지니고 있었고 그것이 투항으로 이어졌다.
다만 전쟁 후 투항자들에 대한 처벌 과정에서 陳益稷에 대한 처벌이 다른 이들과는 달랐다. 또한 그의 투항을 탄생의 설화로써 분식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그는 陳왕조 내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 내부에서는 陳益稷이 ‘安南國王’으로 책봉된 사실에 대해 가능한 한 숨기고자 하였다. 또 일면 그의 투항을 용인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던 것도 이러한 전후 사정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looked at “Tran Ich Tac(陳益稷)”, who surrendered to Yuan during the war with Yuan(元) during the Tran(Trần, 陳) Dynasty in Vietnam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s “King of Annam(安南國王)”. At that time, the Southern Song(南宋) conquest was carried out by Yuan and the conquest of Vietnam began, and discussions were being held on the side of the Tran Dynasty. Yuan made a strong demand for “Six Duties(六事)” against Vietnam at the time, of which it was strongly demanding “audience of the emperor(親朝)”. However, when the Tran Dynasty refused to do so, Khubilai appointed Tran Di Ai(陳遺愛), who had been dispatched as a Vietnamese envoy, to “King of Annam”. And this Yuan's move later affected Tran Ich Tac(陳益稷), and surrendered during the war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was censured as “King of Annam”.
Some argue that the reason for the surrender of Tran Ich Tac is to understand Yuan's internal situation. He also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surrender to Khubilai at the time was to protect the territory of the Tran Dynasty and the position of Jong-myo Shrine, but this was only a justification to unify the surrender of Tran Ich Tac and to satisfy the ambition he had brought before.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punishment for Tran Ich Tac was different from others in the process of punishing the surrender after the war and rationalized his surrender with the birth story, showing his influence within the Tran Dynasty, so inside Vietnam, Tran Ich Tac would not publicly inform him of the fact that he was accused of “king of Annam.”
목차
Ⅰ. 머리말
Ⅱ. 陳益稷 투항의 배경
Ⅲ. 陳益稷의 활동과 元朝의 이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문화연구 제85집 목차
- 일제의 부산·경남권 전쟁 시설 설치와 학생강제동원의 국제법적 불법성
- 明과 15個 不征諸夷國의 關係
- Christian pilgrims to Jerusalem and their perception of Muslims in the Later Middle Ages
- 1970년대 용인의 도시 성장과 공간구조 변화
- 제헌국회의원 선거법의 선거권 연령 하향 요인과 북조선 선거법의 영향
- 원제국 군제의 변화와 몽골적 전통의 지속
- 1930년대 중후반 강원도 개발계획과 삼척지역의 식민지 공업화
- 北으로 간 安南國王 陳益稷
- 헝가리의 실지회복(영토수정주의)에 대한 독일의 입장과 중재: 1920-1941
- 디지털 단일시장의 파급효과와 유럽의 인권 보호 전통 사이의 융합 관점에서 보는 유럽연합의 일반개인정보보호규정
- 1970년대말 수범사례를 통해 본 반상회의 운영과 역할
- 唐宋 시기 해외·남방 本草 지식의 집적과 전승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토기를 통해 본 고구려의 신빈 영릉진고성 운영 시기 검토
- 신라의 소백산맥 서쪽 지역 진출과 지방지배 전략 —성곽-고분군 체계를 중심으로
- 익산지역 백제 사찰의 입지와 축조 공정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