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헝가리의 실지회복(영토수정주의)에 대한 독일의 입장과 중재: 1920-1941
이용수 78
- 영문명
- German Attitude and intervention to Hungarian Revisionism 1920-1941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85집, 335~36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독일은 헝가리의 실지회복(영토수정주의)를 이해하고 있었다. 독일이 헝가리와 루마니아의 영토협상에서 헝가리를 지원하기로 한 결정적인 이유는 히틀러가 2차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기 위하여 발칸반도의 안정을 원했기 때문이다. 독일은 루마니아의 유전지대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안정적인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였고, 이를 위하여 발칸반도를 전장화 하지 않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독일은 트란실바니아 영토문제에 대해 헝가리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헝가리가 루마니아와 전쟁도 불사하고자 했던 상황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루마니아를 굴복시켜 루마니아가 헝가리의 요구사항을 들어주도록 중재하였던 것이다. 물론 독일의 지원에 의한 영토 수복은 궁극적으로 헝가리가 독일의 전시정책에 종속되는 결과를 낳았고, 독일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함에 따라 헝가리도 독일과 함께 패전국의 위치에 서게 되는 운명을 맞게 되었다.
영문 초록
During World War II, Germany understood in Hungary's territorial revisionism. The decisive reason why Germany supported Hungary in territorial negotiations between Hungary and Romania was that Hitler wanted stability in the Balkans in order to lead World War II to victory. This is because Germany absolutely needed a stable supply of oil produced in Romania's oil fields. Germany was aware of the situation in which Hungary was ready to go to war with Romania if Hungary's claim to the Transylvanian territorial issue was not accepted, so it subdued Romania and interceded for Romania to comply with Hungary's demands. Of course, the territorial recovery supported by Germany resulted in Hungary being subordinated to Germany's wartime policy, and as Germany was defeated in World War II, Hungary faced the fate of standing in the position of a defeated country along with Germany.
목차
Ⅰ. 머리말
Ⅱ. 전간기 헝가리 실지 회복에 대한 독일의 입장
Ⅲ. 2차대전 중 실지 회복에 대한 독일의 입장
Ⅳ. 투르누 세베린 협상의 실패와 독일의 중재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문화연구 제85집 목차
- 일제의 부산·경남권 전쟁 시설 설치와 학생강제동원의 국제법적 불법성
- 明과 15個 不征諸夷國의 關係
- Christian pilgrims to Jerusalem and their perception of Muslims in the Later Middle Ages
- 1970년대 용인의 도시 성장과 공간구조 변화
- 제헌국회의원 선거법의 선거권 연령 하향 요인과 북조선 선거법의 영향
- 원제국 군제의 변화와 몽골적 전통의 지속
- 1930년대 중후반 강원도 개발계획과 삼척지역의 식민지 공업화
- 北으로 간 安南國王 陳益稷
- 헝가리의 실지회복(영토수정주의)에 대한 독일의 입장과 중재: 1920-1941
- 디지털 단일시장의 파급효과와 유럽의 인권 보호 전통 사이의 융합 관점에서 보는 유럽연합의 일반개인정보보호규정
- 1970년대말 수범사례를 통해 본 반상회의 운영과 역할
- 唐宋 시기 해외·남방 本草 지식의 집적과 전승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