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明과 15個 不征諸夷國의 關係
이용수 83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Dynasty and The 15 No Punish Countries: Focus on Xian-Luo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임상훈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85집, 241~27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명이 과연 섬라를 ‘不征’ 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명과 섬라의 관계를 개괄해 보았다. 그 결과 명대 277년간, 명과 섬라의 135차례의 사신 왕래 속에서 단 한 차례의 무력 충돌도 일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洪武帝가 祖訓에서 ‘不征諸夷國’의 하나로 섬라를 설정한 것을 후대의 황제들이 명말까지 끝내 지켜낸 것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명과 섬라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의 산물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명과 섬라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명의 국제질서 구축과 섬라의 정치·경제적 이익이라는 각자의 이해관계가 들어맞았기 때문일 것이다. 명은 섬라를 통해 西南諸國 간의 관계를 조정하며 변경을 안정시키고 자신이 구축한 국제질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섬라 역시 명과의 조공과 勘合貿易을 통해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굳이 상대를 자극하여 기존의 共生關係를 깨뜨릴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그 결과는 곧 ‘섬라가 가장 가깝다(暹羅爲最近)’이라는 명의 극찬과 섬라의 110차례에 이르는 빈번한 왕래로 이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Dynasty and Xian-Luo to see if Ming Dynasty really punished Xian-Luo. During the 277 years of Ming Dynasty, there was not a single armed conflict between Ming Dynasty and Xian-Luo during 135 envoys. It is important that the later emperors kept Xian-Luo as one of the “No Punish Countries” in Huang Ming Zu Xun bu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see it as a product of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Ming Dynasty and Xian-Luo.
There are many reasons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Dynasty and Xian-Luo could develop in a friendly manner, but it may be because their respective interests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order in name and Xian-Luo's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fit. Ming dynasty and Xian-Luo was able to adjust relations between the southwestern countries, stabilize changes, and maintain the international order he established. Xian-Luo was also able to take huge economic gains through tribute and combined trade with Ming dynasty. In such a relationship, it would not have been necessary to provoke the other person to break the existing Eu life. The result soon led to rave reviews under the name of “Xian-Luo is the closest” and frequent visits to Xian-Luo up to 110 tim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不征諸夷國 暹羅와의 國際關係 形成과 展開
Ⅲ. 宗藩秩序 下의 暹羅와 東南亞 國際秩序
Ⅳ. 明의 不征諸夷國 暹羅 - 結論을 代替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문화연구 제85집 목차
- 일제의 부산·경남권 전쟁 시설 설치와 학생강제동원의 국제법적 불법성
- 明과 15個 不征諸夷國의 關係
- Christian pilgrims to Jerusalem and their perception of Muslims in the Later Middle Ages
- 1970년대 용인의 도시 성장과 공간구조 변화
- 제헌국회의원 선거법의 선거권 연령 하향 요인과 북조선 선거법의 영향
- 원제국 군제의 변화와 몽골적 전통의 지속
- 1930년대 중후반 강원도 개발계획과 삼척지역의 식민지 공업화
- 北으로 간 安南國王 陳益稷
- 헝가리의 실지회복(영토수정주의)에 대한 독일의 입장과 중재: 1920-1941
- 디지털 단일시장의 파급효과와 유럽의 인권 보호 전통 사이의 융합 관점에서 보는 유럽연합의 일반개인정보보호규정
- 1970년대말 수범사례를 통해 본 반상회의 운영과 역할
- 唐宋 시기 해외·남방 本草 지식의 집적과 전승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