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제국 군제의 변화와 몽골적 전통의 지속

이용수 347

영문명
Changes and the Maintenance of the Mongol Military Tradition in the Yuan: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Military System under the Kublai Kha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조원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5집, 209~24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몽골제국 초기의 군제가 제국의 팽창을 거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쿠빌라이가 대칸에 오른 이후 군제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군제의 측면에서 나타난 몽골의 중국 통치의 양상과 그 특징을 검토했다. 몽골은 군사력을 바탕으로 유라시아를 지배하에 두었다. 이러한 군사력은 군사 개개인의 우수성뿐 아니라 칭기스칸시기의 십진법에 기반한 千戶制의 견고한 조직력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몽골제국 팽창 과정에서 정예 병력인 케식군과 몽골군뿐 아니라 다양한 외국인 군사가 편입되어 형성된 탐마치군을 선봉으로 몽골은 유라시아 전역으로 팽창해갔다. 우구데이시기 몽골의 대금 전쟁 과정에서 몽골군에 상당수의 漢軍 병력이 편입되면서 몽골은 이들을 별도의 軍戶로서 관리하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몽골에서는 民戶와 軍戶가 분리되어 관리되기 시작했다. 쿠빌라이시기 몽골의 중국 통치가 카안의 직접 지배로 전환되면서, 중국에서 몽골 우위의 지배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군사 제도가 개편되었다. 원 초기 쿠빌라이는 제왕 휘하의 병력, 한인 세후 병력 등 몽골, 색목, 한인 무장들 휘하의 병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군사적 위기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한 조직으로서 樞密院, 行樞密院 등의 기구를 세웠고, 자제들에게 王號와 印章을 하사하여 변방의 분봉 지역에 배치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이는 내지에 대한 군사적 감찰을 강화하면서 대칸 울루스 외부의 반란에도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이었다. 한편, 쿠빌라이는 몽골제국초기부터 중국과 중앙아시아 지역을 정복한 후 각 지역의 요충 지역에 군사를 주둔시켰던 전통을 따라 북중국과 새롭게 정복한 강남 지역의 요충지에 군사를 주둔시키는 鎭戌제도를 실시했다. 북중국의 군사 요충지인 河落과 山東 지역에 몽골군과 탐마치군을 주둔켰고, 양자강과 淮河 남쪽에서 남해로 이어지는 강남 지역에는 漢軍과 新附軍이 주둔함으로써 소수의 몽골 통치자들은 중국 지역에서의 군사적 우위를 점했다. 이상의 제도들을 면밀히 검토해보면, 몽골은 중국이라는 새로운 통치 환경에 조응하는 군사제도를 정비하면서도 군제에서 몽골제국 초기 군제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Mongol Empire to the military system, and in particular, focused on the changes of the military system after Kublai became the Great Kha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pire’s rule over China were reviewed in relation the military system. The Mongol Empire dominated Eurasia based on its military power, which was driven not only by the strength of individual soldiers but also the teamwork of Mingɣan-a unit of 1,000 households created based on the decimal system in the days of Genghis Khan. The empire expanded across Eurasia through military conquests led by the imperial elite force known as Keshig, Mongolian military, and Tanmachi comprised of foreign ethnic people. In the war against Jurchen during the reign of Ögedei, the Mongolian military recruited a significant number of Chinese, and categorized them as military households. From then on, the troops were divided into civil households and military households, and separately managed. When the Mongolian Empire’s rule over China was converted to direct control under Qa’an, the military system was reorganized to establish a superior status for Mongol in China. In the early days of the Yuan, Kublai efficiently managed Mongol, Semu and Han troops, and formed a privy council to allow more rapid response to military crises, He gave his sons and grandsons royal titles and seals, and implemented policies to deploy them along border areas. This was an effective approach that reinforced the military’s inland monitoring while allowing prompt response to possible uprisings outside military powers. The Mongol Empire stationed troops in important areas after conquering China and Central Asia, and Kublai followed this tradition by stationing troops in North China and the newly conquered the Southern China. He stationed the Mongolian military in major areas alongside the Yellow river and Shandong province in the Northern China., and the Han Army and newly submitted the southern Song army, which lies alongside Yantze River and the Huai River. As such, the small number of Mongol rulers held dominant military positions in China. A review of the aforementioned policies shows that Mongol Empire adapted the military system to the new environment in China, and at the same time, largely retained the Mongol military tradi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대몽골국시기 몽골 軍制와 제국의 팽창
Ⅲ. 쿠빌라이시기 軍政 기구 운용과 전통의 유지
Ⅳ. 몽골의 주둔군 제도와 中國 통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 (2023).원제국 군제의 변화와 몽골적 전통의 지속. 역사문화연구, (), 209-240

MLA

조원. "원제국 군제의 변화와 몽골적 전통의 지속." 역사문화연구, (2023): 209-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