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관계와 신시대 동북아 국제관계 발전 과제
이용수 148
- 영문명
-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in the New Era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강웅구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1호, 311~34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윤석열 신정부가 출범하고 한일관계에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신정부는 대일 관계를 개선하려 하지만, 한일관계의 개선은 역사적 연원에서 양국의 민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일 간 문제의 핵심 쟁점인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에서 유발된 ‘한일무역분쟁’과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효력 종료 결정으로 양국은 마찰을 빚어 왔다. 이에 역사·경제·안보 등의 갈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면서 한일관계 회복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 현재 갈등을 빚고 있는 무역·안보 등에서 양국의 협력이 이루어지더라도 민감한 과거사 문제와 군사·안보협력의 완전한 회복은 어렵다. 한일관계 개선은 단순히 양국의 문제만은 아니며, 한반도와 동북아 전체에 영향을 기 때문이다. 신정부는 일방적으로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서두르는 것보다 우선 양국이 미래 발전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국내 진보와 보수의 의견을 통합하고 국민적 동의가 이뤄질 때 비로소 화해·협력이 가능하다. 지금의 국제관계는 국가 간 상호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과거보다 훨씬 복잡하게 얽혀있다. 따라서 새로운 한반도 평화와 안보위기의 국제관계를 잘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한국은 동북아에서 균형 있는 중립외교로 한일관계를 개선하고 한반도 주변의 동북아 강국들과의 관계발전에서 독립성과 형평성을 유지해야 한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new government in Yoon Suk Yeol, Korea, is trying to improve Korea-Japan relations, conflicts such as history, economy, and security caused by past issues are a major obstacle to the recovery of Korea-Japan relations. Even i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chieved in trade and security, which are current issues of conflict, it is difficult to fully restore sensitive past issues and military and security cooperation. This is because Korea-Japan relations are not just a matter of both countries, but they affect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s a whole of Northeast Asia. Current international relations are much more complicated than in the past due to high interdependence between countries.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the new peace and security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 should improve Korea-Japan relations with balanced neutral diplomacy in Northeast Asia and maintain independence and equity in developing relations with the powerful countri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Ⅲ. 한일갈등의 역사적 연원과 갈등의 핵심 쟁점
Ⅳ. 한일관계와 동북아 국제관계 발전 방향 분석
Ⅴ. 결론과 전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 위기관리태세 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원조 이념 변화에 대한 트랜스-동아시아적 접근
- 다문화 인식개선 교육
- 한일관계와 신시대 동북아 국제관계 발전 과제
- 환대(Hospitality)와 적대(Hostility) 사이
- 인공지능·로봇에 의한 인간 노동의 대체와 로봇세
- 근대 초 네덜란드의 대외전쟁과 화해전략
- 위험사회와 사회자본
- 백범 김구의 문화국가 정치사상
- 북한의 제한전 하 군사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 우수한 학군사관후보생 모집 방안에 관한 연구
-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및 사각지대 발굴체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미얀마의 군부정권 유지에 대한 규명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한국 사회의 남북통일에 관한 인식 연구
- 전쟁 결정에 있어 ‘역사적 필연성’ 인식론의 역할
- 한국과 국제사회 제7권 제1호 목차
- 포데모스의 등장과 스페인 정당의 당내민주주의 발전
- 평화체제·평화협정에 관한 예비적 사례연구
- 기후변화 시대의 한반도 환경협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