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화체제·평화협정에 관한 예비적 사례연구
이용수 69
- 영문명
- Peace Regime and Peace Treaty : Approach from the General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rough Preliminary Case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신동민 이준석 임다빈 다하라 료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1호, 277~30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제는 평화체제와 평화협정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평화체제는 국제정치 보편의 맥락과 닿아있는데, 최근 논의들이 시간적으로는 현안, 공간적으로는 한반도에 국한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였다. 이와 관련, 한반도 평화협정과 특성을 공유하는 - 관계정상화와 협정 주 객체의 지위 변화 – 일소 공동선언(1956), 일중 공동성명(1972), 바르샤바(1970) 및 프라하 조약(1973), 2+4 조약(1990)과 오스트리아 국가조약(1955)을 분석, 이를 관통하는 공통 요소를 추출하는데 연구 주안점을 두었다. 관계정상화의 성격을 띤 조약들의 경우 외교관계 회복 및 상호관계의 포괄적 발전 방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또한 분쟁당사자간 관계 재설정 차원에서, 청구권, 포로송환, 국제법 원칙 확인 및 국경의 안정성과 관련된 내용이 비중있게 반영되었다. 조약 주 객체의 지위 변경 관련 조약들에서는 조약 서명 당사국의 보증 아래, 영토와 군사력 등 지위 변경된 객체 규정 관련 내용이 중요 부분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평화체제 관련 기초적 데이터를 제공,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 국면에서 한국의 국익을 투영하면서 그 체제의 안정적 작동을 위한 요소 구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critical viewpoint that while the issue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ver the Korean Peninsula lies in the context of the generalit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recent discussions are confined to focusing on the uniqueness of the so-called Korean problem.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aims to find common elements necessary to establish a sustainable peace regime through historical case studies which have relevance with the Korean Peninsula : normaliz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related parties and a change in status of the main object of the treaties. The selected cases are : Joint Declaration of Japan and the Soviet Union(1956), Joint Communique of Japan and the PRC(1972), Warsaw Treaty(1970), Prague Treaty(1973), 2+4 Treaty(1990), Austria State Treaty(1955).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ose insight for elaborating and building a peace regime over the Korean Peninsula which will operate in a stable and sustainable manner.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 위기관리태세 결정 기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원조 이념 변화에 대한 트랜스-동아시아적 접근
- 다문화 인식개선 교육
- 한일관계와 신시대 동북아 국제관계 발전 과제
- 환대(Hospitality)와 적대(Hostility) 사이
- 인공지능·로봇에 의한 인간 노동의 대체와 로봇세
- 근대 초 네덜란드의 대외전쟁과 화해전략
- 위험사회와 사회자본
- 백범 김구의 문화국가 정치사상
- 북한의 제한전 하 군사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 우수한 학군사관후보생 모집 방안에 관한 연구
-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및 사각지대 발굴체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미얀마의 군부정권 유지에 대한 규명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한국 사회의 남북통일에 관한 인식 연구
- 전쟁 결정에 있어 ‘역사적 필연성’ 인식론의 역할
- 한국과 국제사회 제7권 제1호 목차
- 포데모스의 등장과 스페인 정당의 당내민주주의 발전
- 평화체제·평화협정에 관한 예비적 사례연구
- 기후변화 시대의 한반도 환경협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