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직후 북한 문화유산 보존사업과 조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

이용수 86

영문명
The Preservation Work of Historic Remains and the Committee for Survey and Preservation of Material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1946~1950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류승주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03집, 199~22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의 문화유산 보존사업은 해방 직후부터 한국전쟁 직전까지 일련의 변화발전을 이루었다. 처음에는 일제 식민지 제도를 북조선인민위원회 질서에 맞게개편·이관하는 행정적 필요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북한 민족문화 건설사업의일환으로서 그 범위가 확장되었다. 문화유산 관리기구는 1946년 각도 고적보존위원회, 1948년 3월 북조선중앙고적보존위원회, 1948년 11월 조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로 단계적으로확대 강화되었다. 특히 북한 정부수립 직후 설립된 조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물보’)는 명칭에서부터 사업의 범위, 지향점에 이르기까지 이전의 사업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명칭에서 ‘물질문화’라는 소련식 용어를 채용하였고, 서구 학계에서 높은 학문적 성취를 이룬 인류학자 한흥수를 위원장에 임명하였다. 이는 1948년 소련과 동유럽의 정세 변화, 그리고 북한 내부의 급진적 흐름과 관련이 있다. 한흥수 지휘한 ‘물보’는 소련 스탈린주의 인류학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조선인류학’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는 문화유산 보전·연구사업을 통하여 애국주의를 고취하기보다 마르크스·레닌주의 세계관에 근거한 유물사관을 적용,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여, 과학적·합리적 인식으로 대중들을 교양할 것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북한 당국이 추구하였던 ‘민주주의 민족문화 수립’과 ‘선진(소련) 과학의 수입’이라는 두 가지 과제 사이에 일정한 균열이 내포되었다. 국가건설기 북한은 인민민주주의 정치제체와 대중동원을 통해 운영되었으나, 한편으로 조선로동당 지배체제와 소련의 권위 속에서 스탈린주의의 철저한 관철을 추구하였다. 문화유산 보존사업을 둘러싼 균열은 이같은 북한의 내적 모순구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영문 초록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preservation work of historic remains began as an administrative project to reorganize and transfer the Japanese colonial legal system by the order of the North Korean People's Committee, and gradually expanded its role as part of the North Korean national culture construction project. Han Hung-soo, as the chairman of the Committee for Survey and Preservation of Material Cultural Heritage, tried to establish the Chosun anthropology by introducing Soviet Stalinist ethnology. He also pursued to equip the public with scientific and rational awareness rather than promoting patriotism by enhancing national culture. Han's point of view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 other words, Certain crack occurred in the two goal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uilding democratic national culture and transfer of advanced culture from the Soviet Union.

목차

1. 머리말
2. 북조선인민위원회의 문화유산 보존사업
3. 보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물보’)의 조직과 사업
4. 소련 학문 도입과 북한 고고민속학의 수립 문제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승주. (2022).해방 직후 북한 문화유산 보존사업과 조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 한국근현대사연구, (), 199-228

MLA

류승주. "해방 직후 북한 문화유산 보존사업과 조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 한국근현대사연구, (2022): 199-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