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7

영문명
The Influence upon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ie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 Social Support
발행기관
한국복지실천학회
저자명
황지영
간행물 정보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14권 제1호, 115~13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요인들 중에서 디지털역량과 사회적지지의 역할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 8월 2일부터 9월 7일까지 수도권지역에서 생활하고 직업이 있는 50세∼69세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284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디지털역량의 하위요인인 기술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F=18.488, p<.001)되었고, 활용역량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7.212, p<.001). 둘째,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7.212, p<.001), 정보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4.956, p<.001).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도구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1.488, p<.001), 평가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23.899, p<.001). 셋째, 디지털역량과 정서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23)는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t=2.85, p<.01), 디지털 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정서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1). 넷째, 디지털역량과 정보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18)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t=2.02, p<.05), 디지털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정보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은 정보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2). 다섯째, 디지털역량과 도구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11)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t=2.01, p<.05), 디지털 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도구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도구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3). 여섯째, 디지털역량과 평가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11)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t=2.03, p<.05), 디지털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평가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평가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4). 이는 중고령자가 인지하는 디지털역량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할 때, 평가적지지를 받게 되면 중고령자가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의 정도는 다소 확대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는 미미하였으며, 조절변수로서 사회적지지를 적용하여 분석한 국내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역량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 변인이 조절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 검증됨으로서 사회적지지 변인 적용은 새로운 연구로서의 가치를 부여하였고, 하위변수인 정서적지지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와 평가적지지의 요인들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접근 차원에서 유용한 연구결과이며, 향후 디지털 격차 해소와 사회복지서비스 강화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digital capabilities, and the role of a social support among the induction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from August 2, 2022 to September 7 target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over 50 years of age who live in capital area. The final 284 questionnaire copies were used as the analysis objects of this study. Summarizing the results of having been shown in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technology competence, which is a sub-factor of digital capabil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 (F=18.488,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utilization capability appeared to be meaningful (F=17.212,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motional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ocial support was seen to be significant (F=17.212,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informational support was indicated to be meaningful (F=24.956,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material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ocial support, was shown to be significant (F=21.488,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appraisal support appeared to be meaningful (F=23.899,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ird,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23)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emotional support can be known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t=2.85, p<.01).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grow due to the improvement in digital capability comes to be expanded as the emotional support is strengthen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can be considered to be mod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support (Hypothesis 3-1). Fourth,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18)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informational support can be known to have a positive(+) meaningful impact (t=2.02, p<.05).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increase owing to the betterment in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comes to be extended as the informational support is intensifi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can be mentioned to be modera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informational support (Hypothesis 3-2). Fifth,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11)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material support can be understoo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t=2.01, p<.05).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grow due to the improvement in digital capability comes to be magnified as the material support is tighten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can be seen to be mod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erial support (Hypothesis 3-3). Sixth,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11)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appraisal support can be known to have a positive(+) meaningful impact (t=2.03, p<.05).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increase thanks to the betterment in digital capability comes to be expanded as the appraisal support is strengthen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can be considered to be modera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appraisal support (Hypothesis 3-4).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영. (2022).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4 (1), 115-136

MLA

황지영.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4.1(2022): 115-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