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적용성이 방문요양시설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

영문명
The Influence upon the Service Quality of Home-visiting Care Facility by the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복지실천학회
저자명
임용민
간행물 정보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14권 제1호, 72~93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가요양시설 종사자가 인지하는 평가지표와 직업만족, 서비스 질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 평가지표와 서비스 질 관계에서 직업만족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2년 8월 7일부터 동년 9월 15일까지 수도권 지역 방문요양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적합한 409부를 사용하였고, 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지표 중요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8.652, p<.001), 연령, 지역, 규모,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기관운영 영역, 환경안전 영역, 수급자 권리보장 영역, 급여제공과정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평가지표 적용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1.586, p<.001), 학력, 지역, 규모,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기관운영 영역, 환경안전 영역, 수급자 권리보장 영역, 급여제공과정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평가지표 중요도가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9.615, p<.001), 지역,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기관운영 영역, 환경안전 영역, 급여제공과정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평가지표 적용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9.579, p<.001), 성별, 지역,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수급자권리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평가지표 중요도와 서비스 질 영향 과정에서 내적만족은 부분매개적 역할을 하여 가설3-1은 지지 되었으며, 중요도 인식이 높을수록 내적 만족은 높고, 내적 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은 높게 인지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종사자 본인의 내적만족 강화 노력도 재가요양시설 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매개과정을 통하거나 직접적으로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여섯째, 평가지표 적용성과 서비스 질 영향 과정의 내적만족은 부분매개적 역할을 하여 가설3-3은 지지되었으며,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직업자체와 직무내용을 포함하는 종사자 본인의 내적만족 강화 노력도 재가요양시설 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매개과정을 통하거나 직접적으로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일곱째, 평가지표 적용성과 서비스 질 영향 과정의 외적만족은 매개적 역할을 하여 가설3-4는 지지되었으며, 방문요양시설 종사자의 적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외적 만족은 높아지고, 보상체계와 인간관계로 구성되는 외적 만족이 높을수록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질은 강화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평가지표가 만들어지고 3년 주기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32개 항목의 5개 영역 지표를 활용하였고, 각 항목의 중요도 요인과 적용성 요인을 측정하였고, 각 요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 및 직업만족의 매개적 관계를 분석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현재의 평가지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될 평가지표와 직업만족, 서비스 질에 대한 평가모형은 향후 방문요양시설 평가지표의 개선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was carried out in 2008 as part of the policy in order to cope with a rapid rise in elderly people, a surge in family support costs, and the weakening in family support function. The evaluation on the home care facility was begun in 2010 and is reaching the present day. The objective of evaluation on the home-visiting care facilit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enhancing services. This study clarified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perceived by home care facility workers, and the job satisfaction & service quality, and progressed an empirical research on a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indicator and the service quality. Suitable 409 copies were used by conducting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home-visiting care facility workers in capital area from August 7, 2022 to September 15 in the same year.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8.652,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service quality. It was analyzed to b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age, region, maximum number, opening period, number of employee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institution operation, the area of environmental safety, the area of recipient rights guarantee, and the area of salary provision process. Second, the applic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meaningful (F=11.586,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service quality. It was parsed to be influenced by the variables in academic background, region, fixed number, opening period, number of worker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institution operation, the area of environmental safety, the area of recipient rights guarantee, and the area of salary provision process. Third,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se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9.615,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job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o b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region, opening period, number of employee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institution operation, the area of environmental safety, and the area of salary provision process. Fourth, the applic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meaningful (F=9.579,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job satisfaction. It was parsed to be influenced by the variables in gender, region, opening period, number of worker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recipient rights. Fifth,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influential process upon service quality, the internal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Thus, Hypothesis 3-1 was supported. The higher perception of importance leads to the higher internal satisfaction.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 higher internal satisfaction will bring about the higher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Accordingly, to increase the service quality, it is critical more than anything to upgrad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Even the effort to step up the internal satisfaction in employees themselves may mak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hrough the mediating process or directly to rais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home care facility. Sixth,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ex applicability and the influential process upon the service quality, the internal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Thus, Hypothesis 3-3 was backed. To heighten the service quality, it is crucial more than anything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The effort to pump up workers’ own internal satisfaction including job itself and job conten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hrough the mediating process or directly to elevat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home care facility. Sev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용민. (2022).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적용성이 방문요양시설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4 (1), 72-93

MLA

임용민.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적용성이 방문요양시설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4.1(2022): 72-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