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말~20세기 전반 서양선교사들의 조선문화예술 담론만들기

이용수 77

영문명
The Making of Korean Cultural·Aesthetic Discourse by Western Missionarie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육영수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46권, 473~50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세기 말~20세기 전반에 조선(한국)에 체류했던 서양 선교사들은 조선 문학-예술의 역사적 뿌리와 갈래를 어떻게 파악했는가? 이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서 조선 예술에 대한 기초지식을 배웠고, 조선 미학의 역사적 특징을 무엇이라고 규정하는가? 서양 선교사의 조선 문화예술의 전통 만들기에 투영된 편견 또는 새로운 시각이 한국 근현대 예술사에 끼친 단기적인 영향력과 장기적인 역사적 유산은 무엇인가? 이런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서양 선교사들이 『코리안 리포지터리』, 『코리아 리뷰』,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트랜잭션』 등에서 발표한 조선 문화예술 전통의 성격과 미학관을 종합적으로 이해·비평하는 것을 기본목표로 한다. 본문의 전반부에서는 조선 문화예술 전통의 중국적 뿌리와 독창적인 기원을 둘러싼 ‘선교사-학자’의 대표 인물인 게일과 헐버트의 논쟁을 소개한다. 후반부에서는 이 두 사람의 업적을 디딤돌 삼아 ‘선교사-교육자’가 주류인 2세대 선교사들(헌트와 부츠 부인 등)이 개척·확장한 조선미술과 조선음악에 대한 미학 담론을 분석한다. 한국 근대 문화예술 전통의 헝클어진 족보를 다시 정돈하는 실마리를 제공하려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 선교사들은 자신들이 개별적으로 흥미를 느끼는 한국문학-예술 분야에 뛰어들어 예술사 시대구분, 정전 만들기, 주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카탈로그 작업 등을 일단락함으로써 향후 후배 연구자들이 ‘가야 할 길’의 좌표를 제시했다. 둘째, 서양 선교사들은 흔히 ‘동아시아 예술’이라는 지역적 집단명칭으로 뭉뚱그린 예술사에서 중국/일본예술과 차별적인 한국예술의 독창성을 재발견했다. 셋째, 서양 선교사들은, 오리엔탈리즘의 편견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한국의 전통예술이 축적한 생명력과 그 장기지속적인 유산을 긍정적으로 재조명했다. 넷째, 한국문학-예술 전통 만들기는 단 하나의 뿌리와 원천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국적과 언어가 다른 여러 연구자 — 서양 선교사, 일본 관료-학자, 한국 토박이 지식인 등 — 의 지적인 교류와 협력에 기반을 둔 일종의 트랜스내셔널 혼종 작품이었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intends to comprehend, reappraise, and criticize how Western missionaries had perceived and interpreted the origins, transformations,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fine arts, and music by analyzing related articles and essays primarily published in The Korean Repository, The Korea Review, and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author comes up with plausible and/or tentative conclusions as followings: First, Western missionaries contributed to building a solid foundation of Korean aesthetic discourse by drawing a periodization according to artistic achievement, selecting literary·artistic cannons, and classifying·cataloging major works/writers, thus stimulating the launch of the so-called “Choseon Studies Movement” by Korean intellectuals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Second, many concerned Western missionaries agreed that Koreans managed to maintain its own authentic/original aesthetic tradition, distinguished from China and Japan. Third, Korean artistic tradition derives not from a singular but from plural origins and its own peculiarities are an outcome of a hybrid and transnational (re)production among Western missionaries, Japanese bureaucrat-scholars, and native Korean intellectuals.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 문학-예술의 기원과 품성 따지기: 게일-헐버트 논쟁
Ⅲ. 선교사 2세대의 한국음악·미술 비평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육영수. (2022).19세기 말~20세기 전반 서양선교사들의 조선문화예술 담론만들기. 한국사학사학보, (), 473-502

MLA

육영수. "19세기 말~20세기 전반 서양선교사들의 조선문화예술 담론만들기." 한국사학사학보, (2022): 473-5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