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초기 시가류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이용수 62

영문명
A Study on the Historical-Geographical View appearing in traditional ballad books of the early period of Joseon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박인호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46권, 301~34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초기에 문한을 담당한 권근, 권도, 권람의 3대는 역사를 시가의 형태로 작성한 『응제시』, 「동국세년가」, 『용비어천가』, 『응제시주』를 편찬했다. 이들이 편찬한 시가류에서 보여주는 역사지리인식은 이 시기 관부 사서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있다. 권근은 단군에서 기자를 이어 삼한, 삼국, 고려로 이어지는 역사적 정통을 보이고 또한 조선 왕조 개국의 당위성을 알리려고 하였다. 삼한을 삼국으로 연결하되 마한을 기자와 연결하여 이해하고 기자의 유지로 대동강을 지목하는 모습을보이고 있다. 권도는 권근의 『동국사략』에서의 주장을 따르고 있다. 『제왕운기』와 비교해 「동국세년가」에서는 한반도 중심으로 비정하는 양상이 강해지면서도 초기 고구려는 오히려 요동으로 확장되어 나간다. 이점은 『용비어천가』에서도 이어진다. 『용비어천가』에서는 고구려의 성립과정에서 등장하는 지명에 대해서는 대부분한반도 내에 비정하고 있다. 발해도 말갈과 연결시키고 있다. 역사지리 측면에서『용비어천가』는 한반도 중심주의가 강화된다고 할 수 있다. 권람의 『응제시주』에서는 안정기에 들어선 조선의 자신감이 반영되면서 중국과의 항쟁 기록을 자세히 기록하고 낙랑과 현도를 요동에 비정하고 고구려의 초기 지명을 요동에 비정하는 등 요동 지역에 대한 관심을 표출하고 있다. 여기서 보이는 강역인식은 조선후기 역사지리학자들의 확대된 영역관의 정립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 이들 시가류에서는 모두 유교적 명분론이 크게 자리잡고 있다. 이들 시가류는 조선전기와 후기의 역사지리인식의 확립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 문건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hree generations of Kwon Keun, Kwon Do, and Kwan Lam, who were in charge of the official sentences of the country, compiled the books such as Ungjesi, Yeogdaesenyeonga, Yongbieocheonga, Ungjesiju, which wrote history in the form of poetry. Kwon Keun showed the historical orthodoxy leading to Samhan, the Three Kingdoms, and Koryo after the Dangun and Kija and also tried to inform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He thought that Samhan led to the Three Kingdoms and the Kija led to Mahan, and he is pointing to the Taedong River as the land of the Kija. Kwon Do's view of the place name of the past in the Korean peninsula is getting stronger, but the early Goguryeo is rather confirmed in the land of Liaodong. This tendency continues in Yongbieocheonga. In Yongbieocheonga, most of the place name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oguryeo are confirm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Balhae is connected with Malgal. Centralism on the Korean Peninsula is strengthening in Yongbieocheonga. Kwon Lam's book, in the Ungjesiju, the confidence of Joseon in the stabilization period is reflected, and the record of the uprising with China is recorded in detail. And it shows great interest in the Liaodong area, including the early designation of Hyendo and Goguryeo. The territorial awareness shown here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erritorial view that historia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d.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historical geography in the traditional ballad books of the early period of Joseon can be sai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territorial view in the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응제시』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Ⅲ. 「동국세년가」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Ⅳ.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Ⅴ. 『응제시주』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인호. (2022).조선초기 시가류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한국사학사학보, (), 301-344

MLA

박인호. "조선초기 시가류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한국사학사학보, (2022): 301-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