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자안전교육이 간호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23
- 영문명
- Effects of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on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Patient Safety Attitude for Nursing Facult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권려원 홍주영 배수진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0호, 209~2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교수자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교육이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질적 향상과 다양한 임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교육원에서 간호 교수자 45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12일부터 2022년 9월 16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은 2회차(2일)로 구성되었고, 교육프로그램 시작 전 오리엔테이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가 보고식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사전조사, 2회차(2일)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 적용,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에 대한 사후조사 단계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환자안전교육 적용 후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 지식(t=-9.20, p=.000)과 태도(t=-3.56, p=.001)는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지식의 하위 영역의 환자안전(t=-7.96, p=.000), 안전실무와 지침(t=-8.53, p=.000)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환자안전교육 후 환자안전 태도는 안전지식(r=.527, p<.001), 안전실무와 지침 (r=.509, p<.0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환자안전교육이 간호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는 환자안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환자안전교육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on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n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ing faculty.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2th to September 16th, 2022 and 45 nursing faculty were recruited from K education center.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orientation, a pre-survey, a two-section program(2day), and a post-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Win 25.0 program.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on of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t=-9.20, p=.000; t=-3.56, p=.001). Especially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safety knowledge(t=-7.96, p=.000), safety practice guidelines knowledge(t=-8.53 p=.00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patient safety attitud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knowledge(r=.527, p<.001), Safety Practices and Guidelines (r=.509, p<.001). In conclusion,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ing instructo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various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to enhanc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ing instru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경력자 및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
- 동화를 통한 상황역할극 중심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보건소 공무원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원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기혼 남녀의 정서적 성숙 및 자기지각이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에 미치는 영향과 TV 불륜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음주특성,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
- 환자안전교육이 간호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전공연계 요양원 봉사활동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 안전 확보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 건설공사 굴착기 근접 작업자의 불안전행동 기반 휴먼에러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한 아동학대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 대인관계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방역적 사회안전망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