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음주특성,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33
- 영문명
- Factors of demographic, drinking, and mental health on heavy drinking experiences in Adolescents: 2021 Youth Risk Behavior Surve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진영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0호, 121~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취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음주특성과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음주예방을 위한 교육과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연구주제 특성상 음주경험이 전무한 청소년을 제외하고, 최근 30일간에 만취경험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한 5,803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5.0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만취경험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만취경험과 대상자들의 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카이제곱 검정(χ²-test),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음주특성,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특성에서는 학업성적, 주관적 건강상태, 거주형태가 만취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음주특성으로는 음주시작시기(95%CI:0.620~0.903,p〈.001)와 주류구입용이성(95%CI:0.737~1.512, p=.035)이, 정신건강특성으로는 우울감(95%CI:1.375~2.090, p〈.001)과 고립감(95%CI:0.695~1.092, p=.003) 및 자살시도경험(95%CI:1.593~3.147, p〈.001)이 만취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음주문제에 대한 다각적인 사회정책의 방향과 청소년의 음주예방을 위한 조기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음주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신건강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중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drinking fact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of adolescents with heavy drinking experienc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policy for alcohol prevention. As a research method, raw data from the 2021 Youth Risk Behavior Survey were used, and in this study, 5,803 people who responded to questions asking if they had drunk in the past 30 da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Win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subject's drunken experienc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subject'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drinking fact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on the drunk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academic perform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ype of residence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heavy drinking experience i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and drinking age (95%CI: 0.620~0.903, p<).001), Ease of purchase (95% CI: 0.737 to 1.512, p=.035) is depression(95% CI:1.375 to 2.090, p<.001), sense of isolation (95% CI:0.695 to 1.092, p=.003), Suicide attempt experience (95% CI:1.593-3.147, p<.001) was ident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heavy drinking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various social policies on youth drinking problems and the need for early intervention to prevent youth drinking, and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programs considering social interest and mental health in the drink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경력자 및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
- 동화를 통한 상황역할극 중심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보건소 공무원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원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기혼 남녀의 정서적 성숙 및 자기지각이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에 미치는 영향과 TV 불륜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음주특성,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
- 환자안전교육이 간호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전공연계 요양원 봉사활동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 안전 확보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 건설공사 굴착기 근접 작업자의 불안전행동 기반 휴먼에러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한 아동학대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 대인관계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방역적 사회안전망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