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죄경력자 및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

이용수 160

영문명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tigma of Pre-prisoners and their Famili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박명인 공정식 홍수빈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0호, 85~10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정시설에서 형량을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범죄경력자는 연간 약 6만여 명으로, 범죄경력자들의 수감과 출소는 가족 모두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가족들의 낙인은 자신을 스스로 사회에서 고립시키고 회복할 힘과 많은 사회적 관계를 잃어버리게 한다. 뿐만아니라 낙인은 범죄경력자 가족들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범죄경력자보다 더 큰 고통과 부정적인 경험을 가지고 살아가게 한다. 또한 범죄경력자들의 성공적인 사회복귀 가능성을 높여주고 재범을 억제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자원은 가족으로, 공동체 안전 확보, 재범률 감소 등에 기여하기 위해서도 사회적 낙인과 차별로부터 범죄경력자 가족을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범죄경력자에 비해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낙인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고 더 나아가 범죄경력자 가족의 지원 관련 법률과 지원제도 또한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경력자와 가족의 낙인을 이해하고, 이러한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을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2022년 경기도 『보호관찰대상자 등 가족심리치료 지원사업』에서 수집된 데이터 일부 즉, 범죄경력자가 응답한 57개의 자료와 가족이 응답한 70개의 자료를 구분하여 총 127개의 자료를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t검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먼저 범죄경력자와 가족의 낙인인식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평균차를 보이는 것은 부정적 분노대응, 가족예측성, 음주빈도, 음주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낙인인식을 비롯하여 나머지 변수는 범죄경력자와 가족 간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족들의 심리적 상태가 범죄경력자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범죄경력자와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심리요인은 부정적 분노대응과 부정적 자기개념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외에도 가족의 경우 자기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으로는 가족예측성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가족구성원들이 어떤 생각이나 행동을 할지 알고 있을수록 자기낙인이 높아진다는 의미로 가족구성원들 간에 부정적인 예측을 많이 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결론 및 제언에서는 추후 범죄경력자 가족의 심리상태에 대한 후속연구와 범죄경력자 및 가족들이 경험하는 낙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심리 프로그램에 연구결과 나타난 심리적 요인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나아가 범죄경력자 가족의 지원 관련 법률 제도가 확대되어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integration of individuals with a criminal history into society after serving time in correctional facilities poses significant challenges for both the individual and their family. Approximately 60,000 such individuals are released back into society each year, and the impact of imprisonment and release can be deeply detrimental to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The stigma faced by families of these individuals often leads to isolation and the loss of social connections, as well as exacerbating the practical difficulties they may experience. This stigma can also lead to negative experiences and increased suffering for the family, beyond that experienced by the individual with a criminal history. Given that the support and resources provided by the family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individual's successful reintegration and reduced likelihood of recidivism, it is important to protect families from social stigma and discrimination. However, research on the stigma faced by these families is limited, as are legal and support systems specifically geared towards them.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the stigma faced by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a criminal history,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perception of this stigma.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on a total of 127 data points collected from the 2022 Gyeonggi-do 『Psychological treatment support project for families of individuals on probation and others』. The data included 57 responses from individuals with criminal records and 70 responses from their family member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igma perception of individuals with a criminal record and their families in terms of negative anger response, family predictability, drinking frequency, and drinking problem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rest of the variables, including the perception of stigma, indicating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famil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dividuals with a criminal history. The main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stigma of individuals with a criminal record and their families were found to be negative anger responses and negative self-concept. In addition, family predictability was identified as a psychological factor affecting self-stigma among families, suggesting that a greater degree of predictability among family members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elf-stigma and an increased number of negative predic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a criminal history,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ongoing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by these families.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expanding the legal system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these famil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명인,공정식,홍수빈. (2023).범죄경력자 및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 안전문화연구, (), 85-108

MLA

박명인,공정식,홍수빈. "범죄경력자 및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 안전문화연구, (2023): 85-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