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건소 공무원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원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9
- 영문명
-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f Community Health Center Officials on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Focusing on the Period of COVID 19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안성아 정은영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0호, 109~12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하여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높은 수준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보건소 공무원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추후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감염병 위기 상황에 효율적인 인력 관리 관련 정책 대안 수립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방자치단체 시 · 군 · 구 보건소 공무원 162명이며 조사 기간은 2022년 5월 31일부터 6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 감정노동, 사회적 지원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정도는 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은 t-test, ANOVA, 사후 검증은 Shc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피어슨 상관계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더 높았다. 사회적 지원은 근무경력이 5년 미만인 경우와 행정직에서 높게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31세~39세와 계약직/무기직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은 양의 상관관계, 사회적 지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원은 통계적으로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 사회적 지원, 현직급, 연령순으로 36.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이 재출현할 수 있는 상황에서 공무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중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인력 관리를 위한 정책 도입은 은 시급하다. 또한 보건소 공무원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계획 시 각 부서별 특성,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원의 정도, 직급 그리고 연령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o-psychological stress experienced by the sudden surge in workloa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mage of civil servants that emphasizes the spirit of service to the public.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to identify the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f public health center official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variables on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31, 2022 to June 18, 2022.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gene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 levels were analyzed by number and literacy rat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 tes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nd post-hoc tests were analyzed by Shceff test.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influence on psychosocial str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emotional labor scored an average score of 3.23 out of 5, social support scored an average of 3.77 out of 5, and psychosocial stress was 2.23 out of 4.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and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were found in work experience and service area.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had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the rank and age. Psychological stress and emotional lab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stress were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current position, and age, in the order of 36.8% of explanatory pow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mediate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a new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rona 19 may appear or reappea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경력자 및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
- 동화를 통한 상황역할극 중심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보건소 공무원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원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기혼 남녀의 정서적 성숙 및 자기지각이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에 미치는 영향과 TV 불륜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음주특성,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
- 환자안전교육이 간호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전공연계 요양원 봉사활동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 안전 확보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 건설공사 굴착기 근접 작업자의 불안전행동 기반 휴먼에러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한 아동학대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 대인관계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방역적 사회안전망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