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한 아동학대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이용수 561
- 영문명
- Keywords Network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on Child Abus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서보순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0호, 159~1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동학대 연구의 축과 그 흐름을 가시화하고, 주요하게 조명해왔던 개념들을 점검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아동학대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연구에서 제시된 주제어의 출현경향과 주제어가 형성하는 네트워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된 연구동향 분석 논문과의 비교논의와 아동권리 존중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01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연구물 1,203편에서 450종, 5,813개의 키워드를 자료로 선정해, UCINET6 프로그램으로 키워드 네트워크의 속성과 중심성, 에고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NetDraw프로그램을 활용해 연결망을 시각화했다. 연구의 결과, 첫째, 아동학대 연구에는 ‘아동’, ‘학대’, ‘청소년’, ‘부모’, ‘학대피해경험’, ‘방임’, ‘우울’이 주제어로 자주 등장했고, 그 출현 경향은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체 네트워크는 448개의 노드에 7,588개의 링크, 2개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구조였다. 셋째, ‘청소년’, ‘부모’, ‘학대피해경험’, ‘방임’, ‘우울’, ‘정서학대’, ‘성학대’, ‘신체학대’ 키워드는 중심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였다. 넷째, ‘청소년’, ‘부모’, ‘학대피해경험’, ‘방임’ 에고네트워크는 네 단어 사이의 연결강도가 높고, ‘비행’, ‘우울’, ‘학교적응’과도 강하게 결속되어 있었다. 또한 ‘청소년’은 ‘가출’, ‘또래’, ‘자살 생각’, ‘자살’, ‘가정’과, ‘부모’는 ‘자녀’, ‘관계’, ‘애착’, ‘교사’, ‘양육태도’, ‘인식’과 ‘학대피해경험’은 ‘자살’, ‘정서’, ‘학교폭력’, ‘사회적 지지’, ‘미술치료’와, ‘방임’은 ‘대인관계’, ‘교사’, ‘외상 후 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아동학대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개념들의 구조와 시기별 흐름을 밝힘으로써, 선행연구들의 초점을 확인하였다. 2010년 중반 이후 아동학대 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했고, 영향 변인들에 대한 탐구에 집중되었다는 점은 동향 분석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했다. 이에 덧붙여 이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연구들에서 시기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어들을 도출하고, 이들과 연결된 개념들의 네트워크를 확인하였으며, 연구들의 시기별 초점을 발견하여, 아동학대에 관한 추후 연구와 정책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isualize the paradigm and flow of child abuse studies in Korea, and to examine the concepts that were important. In this study, by examining trends in child abuse studies through keywords network analysis, the frequency trends and networks of keyword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rough this, I tri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hildren's rights and comparison with other trend analysis researches. For this purpose, 5,813 keywords of 450 types from 1,203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22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UCINET6 program and the NetDraw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hild', 'abuse', 'adolescent', 'parent', 'abuse experience', 'neglect', and 'depression' frequently appeared as the keywords in child abuse research. An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trend depending on the time period. Second, the entire network had a structure including 448 nodes, 7,588 links, and 2 components. Third, the keywords 'adolescence', 'parent', 'abuse experience', 'neglect', 'depression', 'emotional abuse', 'sexual abuse', and 'physical abuse' were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Fourth, the ego network of ‘adolescence’, ‘parent’, ‘abuse experience’, and ‘neglect’ had high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four words, and was also strongly bound with ‘misconduct’,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adolescence' ego network was connected to 'runaway', 'peer',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family', and the 'parent' ego network was connected to 'children', 'relationship', 'attachment', ' teacher', 'parenting attitude', and 'recognition' were connected. The 'abuse experience' ego network is connected to 'suicide', 'emotion', 'school violence', 'social support', and 'art therapy', and the 'neglect' ego network is link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eacher', '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were strongly linked. 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child abuse studies had increased since the middle of 2010, and there was a focus on exploring influencing variables. In addition to this, in this study, important keywords that penetrate the period were derived from child abuse studies, and a network of concepts connected to the keywords was identified. In addition, by discovering the focus of studies by period,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implementation on child abu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경력자 및 가족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
- 동화를 통한 상황역할극 중심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보건소 공무원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원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기혼 남녀의 정서적 성숙 및 자기지각이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에 미치는 영향과 TV 불륜 드라마에 대한 비판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음주특성,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
- 환자안전교육이 간호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전공연계 요양원 봉사활동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 안전 확보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 건설공사 굴착기 근접 작업자의 불안전행동 기반 휴먼에러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한 아동학대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 대인관계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방역적 사회안전망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