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공원 방문객의 체류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Urban Park Average Length of Sta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민형 오동하 황영현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6권 제6호, 275~2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ngth of stay in urban park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ngth of stay in different types of urban parks. For empirical analysis, 10 urban parks in Busan which represent three different types of forest-type, city-type, and waterfront-type were selected as study sites. A Survey of users at selected parks was conducted in 2009 and resulted in 1,466 responses. Results of study indicat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stay by urban parks. Length of stay in an urban park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der, travel time to park, perceived accessibility, size of park, frequency of visit, day of visit (weekdays/weekend), time of visiting and purpose of visit. Results also reveal that influencing factors of length of stay vary depends on the type of urban park. Variables related to the site characteristics of park such as travel time to park, perceived accessibility, and size of park are salient for the length of stay in forest-type urban parks, while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and park use behavior variables (frequency of use, day of use) are important for waterfront type urban park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ddressed with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이탈주민의 여가제약
- 여가정체성, 자기오락화 능력과 여가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 도시공원 방문객의 체류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에서의 여가체험 분석
-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지역축제 특성 연구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자전거이용자 세분화 및 주행환경 선호도 분석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따른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행산업 이용자의 책임도박 인지 및 적응
- 한․중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 비교분석
- 청소년의 여가생활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와 관광개념 형성에 투영된 모더니티와 오리엔탈리즘의 변증법
-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Juliet Schor와 Gary Cross의 ‘시간과 돈’의 테제를 중심으로
- 한국 성인 남성들의 레저인식과 건강과의 관계 분석
- 중국인과 한국인의 여가인식 및 문화 비교
- [編輯人의 글] 여가·레크레이션 특집호를 발간하면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