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에서의 여가체험 분석
이용수 18
- 영문명
- Analysis of the Leisure Experience in the Virtual Reality: A Study on Screen Golf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윤현호 정찬영 이훈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6권 제6호, 79~1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s of screen golf that is typically conducted in the virtual reality using Baudrillarda’s Simulacra Concept.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s screen golfers’ leisure experiences and their existential authentic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creen golf is seen as a vehicle that forces ‘the golf as a reality’ to make it possible in ‘the virtual reality’. Also, the results show that screen golf is to fulfill participants’ desire for golf. Similarly, screen golfers use virtual reality as a leisure tool for interacting with colleagues, and through this interaction, they seek to gain a sense of achievement, curiosity, concentration, fun, intimacy, and a sense of connection. Screen golfers, thus, put a value on their strong feelings coming from the act in the virtual reality and are able to experience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by reacting to the stimulations delivered from their five sens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tourism in two ways: First, it supports the idea of which the virtual reality provides people with a leisure experience as a satisfactory substitute for the reality; and Second, it examines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by taking an empirical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이탈주민의 여가제약
- 여가정체성, 자기오락화 능력과 여가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 도시공원 방문객의 체류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에서의 여가체험 분석
-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지역축제 특성 연구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자전거이용자 세분화 및 주행환경 선호도 분석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따른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행산업 이용자의 책임도박 인지 및 적응
- 한․중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 비교분석
- 청소년의 여가생활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와 관광개념 형성에 투영된 모더니티와 오리엔탈리즘의 변증법
-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Juliet Schor와 Gary Cross의 ‘시간과 돈’의 테제를 중심으로
- 한국 성인 남성들의 레저인식과 건강과의 관계 분석
- 중국인과 한국인의 여가인식 및 문화 비교
- [編輯人의 글] 여가·레크레이션 특집호를 발간하면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