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Juliet Schor와 Gary Cross의 ‘시간과 돈’의 테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Choice of Time and Money as the Fruit of Productivity Gains in Korea: Using Juliet Schor & Gary Cross' Time and Money Thesi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심재명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6권 제6호, 37~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ork time reduction is one of the pending issues in social debate in Korea, and Schor and Cross' notion of 'time and money' provides an apt framework for analysis on this topic. While increased productivity made possible both increased income and reduction of work time, historically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ity gains has been heavily biased toward the former. And behind the win of money over time, according to thinkers like Schor and Cross, is the growth-centered value system and strong consumer culture of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Such an argument signifies that at the core of the debate of work time reduction is the issue of economic growth rather than such issues as quality of life and work sharing. In other words, while the debate of work time reduction in Korea has focused on the latter issues, the real progress in the reduction of work time could be achieved when we are willing to compromise economic growth. as the most important public objective. Work time reduction, however, does not merely mean some quantitative change in a narrow facet of our life but rather fundamental changes in our actions and values and social institution in general. Social debate of work time reduction should include such consider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이탈주민의 여가제약
- 여가정체성, 자기오락화 능력과 여가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 도시공원 방문객의 체류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에서의 여가체험 분석
-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지역축제 특성 연구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자전거이용자 세분화 및 주행환경 선호도 분석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따른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행산업 이용자의 책임도박 인지 및 적응
- 한․중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 비교분석
- 청소년의 여가생활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와 관광개념 형성에 투영된 모더니티와 오리엔탈리즘의 변증법
-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Juliet Schor와 Gary Cross의 ‘시간과 돈’의 테제를 중심으로
- 한국 성인 남성들의 레저인식과 건강과의 관계 분석
- 중국인과 한국인의 여가인식 및 문화 비교
- [編輯人의 글] 여가·레크레이션 특집호를 발간하면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