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 탐색

이용수 340

영문명
Expl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Metabu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홍애령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1호, 251~2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관점에서 메타버스에 관한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 메타버스에 관한은유적 표현을 분석 및 해석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태도를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을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2022년 5월부터 12월까지 총 8개월간의 연구를 통해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생 4~6학년 30명과심층면담, FGI, 마인드맵 및 그림일기 활동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에 관한인식과 태도를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눈에 비친 메타버스는 물고기가 만난 물(자율성),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잠재성), 우리 반, 세계, 우주의 다른 버전(멀티버스)로 인식되었다. 둘째, 메타버스에 관한 초등학생의 시선과태도 유형은 호기심과 기대형, 모호함과 부담형, 양가성과 공존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은 주로 학교의 정규 교과수업보다는 게임, 영재교육원, 체험수업 등의 학교 밖 프로그램을 통해메타버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및 학교급별 메타버스 교육을 위한 이론적 근거의 구축, 소외계층, 빈민가정, 다문화가정 등 특화된 학습자를 중심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 자료의 개발, 메타버스 교육을 실천할 전문 교육자의 양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thoughts and perspec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metaverse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metaphorical expressions of the metaverse and presented theirperspectives and attitudes as specific typ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 mind maps, andpicture diary activities from May to December 2022. Participants included 30 elementary school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after, metaphors and attitudes towards the metaversewere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metaverse as water(autonomous), space of infinite possibilities (potential), and other versions of our class, world, anduniverse (multiverse). Second, their perspectives and attitudes towards the metaverse were dividedinto the following types: curiosity and expectation type, ambiguity and burden type, and ambivalenceand coexistence type.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acquired the concepts of the metaversethrough out-of-school programs rather than regular curriculum classes in the school. Conclusion: Therefore, theoretical grounds need to be established for metaverse education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at the school-level. Furthermore, metaverse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materials for specialized learners such as the underprivileged, poor, and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be developed, and professional educators should be encouraged to practice metavers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애령. (2023).메타버스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 탐색. 교원교육, 39 (1), 251-270

MLA

홍애령. "메타버스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 탐색." 교원교육, 39.1(2023): 251-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