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의 교직진출의도와 교직준비행동, 학업태도에 대한 교직동기와 학업동기의 예측 검증

이용수 193

영문명
Examination of the Prediction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Motivation and Academic motivation for the Inten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Teaching Career Preparation, and Academic Attitud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송주연 강진영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1호, 291~31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교직진출의도와 교직준비행동, 학업태도에 대한 교직동기와 학업동기의 구별되는 예측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서 교원양성기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6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에서는예비교사의 교직진출의도와 교직준비행동을 측정하였으며, 학업태도로는 전공과목과 교직과목에서의 노력지속과 학업지연을 측정하였다. 기대-가치 이론에 기초하여, 교직동기로는 교직에 대한 효능감과 가치,비용을 측정하였으며, 학업동기로는 전공과목과 교직과목에 대한 효능감과 가치, 비용을 측정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직가치는 교직진출의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교직효능감과 비용은 교직준비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전공과목 비용은 교직준비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교직가치와 전공과목 효능감과 가치,그리고 교직과목 효능감은 전공과목 노력지속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전공과목 효능감과 비용은 전공과목학업지연도 예측하였다. 전공과목과 교직과목 효능감 그리고 교직과목 가치는 교직과목 노력지속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전공과목 효능감과 교직과목 가치와 비용은 교직과목 학업지연을 예측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기간 중 예비교사의 교직진출의도와 교직준비행동 그리고 학업을 위한동기부여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교직에 대한 가치는 예비교사의 교직진출의도와 전공과목에서의 노력지속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직에 대한 가치가 반드시 교직준비행동이나 학업에 대한 다른 긍정적인 태도를 촉진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예비교사의 교직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의 교직효능감을 향상시키고 교직과 전공과목에 대한 비용인식을 감소시켜줄 필요가 있다. 또한 전공과목과 교직과목에서 낮은 학업지연과 지속적인 노력을 독려하기 위해서는 각 수업에대한 동기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on of teaching motivation and academicmotiv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ten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teaching career preparation,academic effort persist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To this end, 261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the teacher training period participated inthe survey. In the survey, the pre-service teachers' inten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and teachingcareer preparation were measured, and effort persist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major andteaching subjects were measured as academic attitudes. The efficacy, value, and cost of teaching, major,and teaching subjects were measured with teaching motivation and academic motivation, respective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Results: As a result, the research revealed differential predictions of teaching motivation, major andteaching subject motivation for inten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teaching career preparation, andacademic attitude. teaching value predicted the inten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Teaching efficacyand cost predicted teaching career preparation positively, and the cost of major subjects predictedteaching career preparation negatively. Teaching value, the efficacy and value of the major subjects,and the efficacy of the teaching subjects predicted the effort persistence in the major subjects. Theefficacy and cost of major subjects also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e major subjects. Theefficacy of major and teaching subjects and the value of teaching subjects statistically predicted effortpersistence in the teaching subjects. The efficacy of major subjects and the value and cost of teachingsubjects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eaching subjec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guidelines on how to encourage themotiv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tention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career preparationbehavior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during the teacher training period as follows. The higherthe value of the teaching career,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and the effortpersistence in the major subject, but this may not necessarily positively function in teaching careerpreparation or academic attitude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teachingefficacy should be improved and their cost perception for teaching and major should be reduced inorder to increase their preparation for a teaching career. In addition, in order to encourage low academicprocrastination and effort persistence in major and teaching subjects, it is important to increasemotivation for each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주연,강진영. (2023).예비교사의 교직진출의도와 교직준비행동, 학업태도에 대한 교직동기와 학업동기의 예측 검증. 교원교육, 39 (1), 291-315

MLA

송주연,강진영. "예비교사의 교직진출의도와 교직준비행동, 학업태도에 대한 교직동기와 학업동기의 예측 검증." 교원교육, 39.1(2023): 291-3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