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에 기초한 놀이성 유형구분 및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131

영문명
Analysis of the Latent Class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Impact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효원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9권 제1호, 271~29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놀이지원자로서 유아교사가 갖춰야 할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에따라 동질적인 특성을 갖는 잠재집단으로 유형화하여 집단별 특성을 확인하고,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미친 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광주광역시 소재 S대학교 유아교육과의 1-4학년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놀이성, 유아놀이에대한 인식, 학습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동기를 측정하고,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에 기초하여 ‘낮은 놀이성 집단’, ‘중간 놀이성 집단’, ‘높은 놀이성집단’의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잠재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높은 놀이성 집단’이 ‘중간놀이성 집단’에 비해 유아놀이에 대한 인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자기주도학습, 고효과 프로그램 참여, 학업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 신장을 위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have as playsupporters, this study identified playfulness types according to the playfulness of pre-early childhoodteachers, explored predictive variables that affected them,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of children’s play, student engage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between groups. Methods: To this end, 123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 Gwangju were subjected to latent profilingand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three latent classes were derived: a ‘low playfulness group’, a ‘middle playfulnessgroup’, and a ‘high playfulness grou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it was found that the ‘high playfulness group’ recogniz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play and academicself-efficacy was higher than the ‘middle playfulness group’. Finally, it was found that self-directedlearning, participation in high-efficiency programs,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affected group classifi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of playfulness for pre-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원. (2023).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에 기초한 놀이성 유형구분 및 영향요인 탐색. 교원교육, 39 (1), 271-290

MLA

김효원.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에 기초한 놀이성 유형구분 및 영향요인 탐색." 교원교육, 39.1(2023): 271-2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