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 산책자의 미적 체험과 의미범주
이용수 29
- 영문명
- A City Stroller's Aesthetic Experience and Meaningful Scop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홍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0호, 587~6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명사적 전환에 의한 문화현상은 새로운 미적 체험과 인식을 가능케 한다. 본고는 이에 대한 해명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특히 대도시 공간의 출현에서 발생하는 생활방식과 체험구조를 벤야민이 제안한 산책자의 관점에 입각하여 조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은 대도시 공간을 ‘시각적 패러다임’ 속에서 사유하는 산책자의 투시적 상상력을 주목하는 방법이다. 시적 주체로서 산책자가 대도시 공간이라는 객체에 대하여 반응하는 지각은 도시적 삶의 조건과 과정에 대한 구체적 인식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도시 산책자의 미적 체험과 의미범주를 ‘도시공간에 대한 매혹과 부정적 지각’, ‘물신의 욕망과 비판적 인식’, ‘아우라 경험의 재생과 비움의 미학’이라는 층위에서 조명한다. 그럼으로써 새롭게 변화한 탈근대의 도시공간에서 도시 산책자로서 유하의 시적 상상력의 스펙트럼을 조명하고, 아울러 유하의 시가 보여주는 문학적 증상이 어떠한 사회ㆍ문화ㆍ문명사적 의미를 지니는지 살핀다.
영문 초록
The process of capitalistic industrialization has brought the expansion of city experience. Cities are meant to be not only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spaces but also aesthetic spaces. We are having the aesthetic experience while keeping our daily life in the city space. Such aesthetic experience is a new phenomenon. This paper aimed at considering a city stroller's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response type shown in the poetry of Ha You from these perspectives.
The response type of the stroller to the space of a large city is taken in a two fold attitude with the fascination and negative perception and the addiction and reflective criticism. The fascination and addiction of the city stroller perceives the city civilization to be negative and become a method to be aware of it in a critic way. For example, the stroller peeks into the desire and microscopic action of power inherent to the material abundance and symbolic value ruling the city. In addition, these are perceived negatively in a critic manner. The critic awareness encourages the virtues of slowness and emptiness as their alternatives.
The response type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in the world of experience shows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advanced around the city space might cause any large-scale disaster. The negative perception to the city space as an intensive symbol for the capitalistic civilization becomes a medium for the critic reflection and the characteristic to criticize civilization. The criticism of civilization as the reflective consideration by such negative awareness lead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individual to the place of history.
The narrator who observes the landscape of city streets ruled by the god of materialism and question the nature of hidden politics is the stroller. This stroller is thinking reflectively while looking at the abundance and fashion in the city, the expansive reproduction of desire penetrated into the abundance and splendor of preference, and the actions of microscopic power. Such reflective pondering might be the power of imagination of runaway to get into the world of hope from the negative aspects of experience world.
The city space is a condition to secure the material richness and pleasure in the capitalist life. Streets are exhibition centers of product aesthetics for the capitalism and the stroll in such places enables us to have the new aesthetic experience. The product aesthetics is an indicator to guarantee the myth of material richness as well as abundance of city life. The expansion of city experience and subsequent exploration of desire for the material belief of goods is to find out the genuine nature of life from the distorted characteristics of modern. Ha You finds out such true nature of life from the points where it encounters to the city space, aesthetics of reproduction and slowness in the aura experience, or philosophy of emptiness.
목차
1. 서론: 도시 산책자의 반응형식
2. 도시공간의 매혹과 부정적 지각
3. 물신의 욕망과 비판적 인식
4. 아우라 경험의 재생과 비움의 미학
5. 결론: 도취와 반성적 성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의 변화와 의미
-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Ⅲ): 문장
- 빈칸 메우기 검사의 채점 방법에 관한 연구
-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평가 방법 연구
- 악성 댓글 문화에 대한 국어교육적 방안
- 한국어 학습 시 나타나는 말레이시아인 학습자의 특성
- [글쓰기치료] 소설 고쳐 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사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인사 표현의 교육 방안
- 교양과목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그 흐름과 전망
- 社會言語學的 관점에서 본 大學生의 의식변화 고찰
- 법령 제명 띄어쓰기의 오류 실태
-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설명문 읽기 지도 방법
- 재(在)호주 한국인의 인성 덕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국어과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방향
- 논술 첨삭 피드백의 문제점
- 논술문 쓰기에 나타난 동료 평가의 양상과 의의
-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교섭을 고려한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방법 연구
- 자기소개서 쓰기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수업의 주체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 과정 중심 쓰기 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정확성’ 중심 문법 교육관에 대한 반성적 고찰
- 口語 談話標識의 歡談的 機能 硏究
- 교과과정 연계방안으로서 WAC 프로그램 도입 사례 연구
- 도시 산책자의 미적 체험과 의미범주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양상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