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口語 談話標識의 歡談的 機能 硏究
이용수 3
- 영문명
- The study on talk label in implicit pleasant meaning: centered on
; label 'O'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서승아 김혜숙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0호, 545~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의 의사소통은 읽기나 쓰기보다 듣기·말하기에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사회·문화적 상황이 다른 사람들 간에는 각자의 신념이나 공유지식이 달라서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연구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담화 표지에 반영된 관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삭막한 현대 사회에서는 재미있는 말하기(예술적 화법)가 긴요한데, 여기에는 개인적 차원, 사회·문화적 차원, 윤리적 차원이 모두 통섭해 있다. 최근에 인기 있는 <무릎 팍 도사>가 코믹 토크쇼에서 사용한 담화 표지들을 그 대상으로 하여, 유형화하고 특히 환담성이 강한 '오'라는 표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담화 표지가 유창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가장 최소의 지식이 됨을 밝히는 데 있다.
영문 초록
That human's communication hears rather than read uses, to speak more vigorously attain. By the way, because each belief or common knowledge differs in people liver that cultural circumstance differs, problems happened in society. So, I wish to understand convention that is reflected in talk label to solve this problem.
Artistic narration is important on dreary modern society, moreover even if it is private, socio-cultural, and ethical dimension even if consielent do. For these reason, is synthetic as study target and I am having aloof advantage.
does talk marking that use in comic talk show by the target, will typify these and examine with exciting function label 'O' in priority specially.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ed that talk label fosters fluent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becomes most minimum know-how.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무릎 팍 도사> 환담구조 속에서의 표지
4. 환담적 담화 표지 추출
5. 환담적 담화 표지 '오'의 유형 분석
6. 맺으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의 변화와 의미
-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Ⅲ): 문장
- 빈칸 메우기 검사의 채점 방법에 관한 연구
-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평가 방법 연구
- 악성 댓글 문화에 대한 국어교육적 방안
- 한국어 학습 시 나타나는 말레이시아인 학습자의 특성
- [글쓰기치료] 소설 고쳐 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사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인사 표현의 교육 방안
- 교양과목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그 흐름과 전망
- 社會言語學的 관점에서 본 大學生의 의식변화 고찰
- 법령 제명 띄어쓰기의 오류 실태
-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설명문 읽기 지도 방법
- 재(在)호주 한국인의 인성 덕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국어과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방향
- 논술 첨삭 피드백의 문제점
- 논술문 쓰기에 나타난 동료 평가의 양상과 의의
-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교섭을 고려한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방법 연구
- 자기소개서 쓰기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수업의 주체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 과정 중심 쓰기 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정확성’ 중심 문법 교육관에 대한 반성적 고찰
- 口語 談話標識의 歡談的 機能 硏究
- 교과과정 연계방안으로서 WAC 프로그램 도입 사례 연구
- 도시 산책자의 미적 체험과 의미범주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양상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