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악성 댓글 문화에 대한 국어교육적 방안
이용수 6
- 영문명
- Pla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ponding to the Ill-intended Comment Culltur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0호, 125~1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 다루는 것은, 타인에 대한 배려 없이 악성 댓글을 서슴없이 달고, 언어의 질서를 무시하면서 남을 비방하는 저속한 댓글 문화다. 기존의 문자를 개성 있게 변용하여 개인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넘어 이제는 댓글이 타인을 공격하는 도구가 되고 있다. 사이버 언어가 사이비(似而非) 언어로 변질되어 청소년의 언어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필자는 저속한 악성 댓글 문화에 대해 (1) 문장과 어휘에 관한 교육, (2) 비판적 읽기 교육, (4) 읽기와 쓰기를 연계한 통합적 교육, (4) 띄어쓰기를 포함한 맞춤법 교육 등의 네 측면에서 국어교육적 방안을 제시한다. 이 글은 악성 댓글이 유행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말살되는 언어 현실에서 국어교사가 학생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해 살핀다.
영문 초록
The thing that the present thesis makes issue of is the continued comment culture wherein ill-intended comments are posted up without hesitation and other people are slandered, ignoring the order of language. The comment system has now gone beyond the realm of the past's making of use words in order to freely express an individual's opinions, becoming a tool designed for recklessly attacking others. The cyber-language has deteriorated into a mock-language, even affecting language use by the youth. The author proposes a language education plan responding to the continued ill-intended comment culture in four aspects, namely (1) education of sentences and vocabulary; (2) education of critical reading; (3) integrated education that combines reading and writing; and (4) education of the rules of spelling including word spacing. This thesis examines in detail what things Korean language educators should teach to students and in what ways, amidst the reality of language wherein ill-intended comments are popular and our language's beauty is being obliterated.
목차
1. 문제제기
2. 악성 댓글 문화에 대한 국어교육적 방안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의 변화와 의미
-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Ⅲ): 문장
- 빈칸 메우기 검사의 채점 방법에 관한 연구
-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평가 방법 연구
- 악성 댓글 문화에 대한 국어교육적 방안
- 한국어 학습 시 나타나는 말레이시아인 학습자의 특성
- [글쓰기치료] 소설 고쳐 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사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인사 표현의 교육 방안
- 교양과목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그 흐름과 전망
- 社會言語學的 관점에서 본 大學生의 의식변화 고찰
- 법령 제명 띄어쓰기의 오류 실태
-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설명문 읽기 지도 방법
- 재(在)호주 한국인의 인성 덕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국어과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방향
- 논술 첨삭 피드백의 문제점
- 논술문 쓰기에 나타난 동료 평가의 양상과 의의
-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교섭을 고려한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방법 연구
- 자기소개서 쓰기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수업의 주체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 과정 중심 쓰기 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정확성’ 중심 문법 교육관에 대한 반성적 고찰
- 口語 談話標識의 歡談的 機能 硏究
- 교과과정 연계방안으로서 WAC 프로그램 도입 사례 연구
- 도시 산책자의 미적 체험과 의미범주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양상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