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맨드라미’의 어휘사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Diachronism on the name of ‘Maendeurami(cockscomb)’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장충덕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5호, 423~4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맨드라미’ 이름의 어원과 형태 변화를 문헌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맨드라미’는 동서양 언어권을 막론하고 꽃의 모양을 보고 이름을 붙이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국어의 경우 꽃의 모양에 근거하여 붙여진 ‘닭의볏’이라는 어형은 방언에만 존재할 뿐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 15세기 이후 한글 문헌에는 ‘맨드라미’를 뜻하는 어휘로 ‘맨드라미’형만 나타날 뿐 ‘닭의볏’형은 나타나지 않는다. ‘맨드라미’를 뜻하는 ‘닭의볏’형은 아주 이른 시기에 중앙어에서 사라진 것이다.‘맨드라미’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을 때 ‘의볏’과 ‘만라미’라는 두 가지의 이름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의볏’은 꽃의 모양을 보고 이름을 붙인 것이고, ‘만라미’는 ‘曼陀羅華’(Mandarava)라는 범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만다라화’라는 꽃의 존재에 대해서 모르는 상태에서 인도에서 유입된 맨드라미를 ‘만다라화’로 생각하여 이름 붙인 것이다. 그 후 동일 사물을 지칭하는 ‘만라미’와 ‘의볏’은 유의경쟁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차용어인 ‘만라미’가 고유어인 ‘의볏’을 물리치고 중앙어에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의볏’이 ‘맨드라미’ 외에 실제 ‘닭의 볏’을 가리키기도 하기 때문에 유의경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맨드라미’는 15세기에 ‘만라미’가 나타나고, 17세기에는 ‘만라미’의 형태에서 ‘>ㅗ’의 변화를 경험한 ‘만도라미’를 볼 수 있다. 19세기에는 이전 시기의 ‘만-’이 ‘-’으로 변화한 ‘도람이’, ‘도라미’, ‘두라미’, ‘라미’, ‘드람이’ 등이 나타난다. 20세기에 오면 ‘맨도람이, 맨도라미, 맨드라미’ 등의 어형이 나타난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맨드라미'의 어원
3. '맨드라미'의 형태 변화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염상섭 소설의 동정자 인물유형 연구
- 소설의 허구성에 대한 국어국문학과 학생들의 인식과 소설의 시간 재구성
- 국어 문장의 오류 분석
- 상업용 한글 교재 분석을 통한 입문기 문자교육 실태 연구
- 동천 권태응의 단편소설 연구
- ‘친교적 화법’ 수업의 내용과 실행 양상 연구
- 재 말레이시아 한국 학생들의 국어 학습 인식 조사
- 예비국어교사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어 수업 도입부의 동기유발 유형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실과 세계화 전략
- ‘맨드라미’의 어휘사
- 두 층위의 국어지식과 문법 교육
- 가사 삽입체 고소설의 서술방식
-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요소 선정 기준 탐색
- 김유정의 전기적 편린
- 한국 현대시의 에드바르트 뭉크 수용
- 말하기 평가의 요소 설정 연구
- 귀국 초등학생의 쓰기 오류 실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제마무전>의 성립 과정과 구성 원리
- 효과적인 띄어쓰기에 대하여
- 단어와 문장의 오류 실태 분석(1)
- 한국 홍수설화의 신화적 성격과 그 원리
- 단편비디오를 이용한 문화교육의 유효성
- 컴퓨터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 고찰
- 내용 영역 문식력의 특징과 지도 방향
- [기획 특집] 권태응(權泰應)의 미발표작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