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 China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복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5호, 249~28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 나라의 교육제도는 그 나라의 역사와 전통, 문화적 맥락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교육의 변화와 발전, 더 나아가 국가의 장래까지도 예견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전통적으로 교육을 중시하는 나라이다. 그 중에서도 기초교육인 국어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하지만 두 나라의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는 아직도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어교육의 실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아 두 나라 국어 교육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고는 두 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이 걸어온 역사를 살펴본 기초에서 현행 교육과정의 (1)구성 체제, (2)성격, (3)목표, (4)내용, (5)방법, (6)평가 등 6개 항목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매개 항목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데 기초하여 두 나라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총체적 특징을 추출해 냈다. 즉, 한국은 1)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2)수준별 교육과정, 3)창조적 능력의 신장을 강조, 4)문학교육의 중시, 5)‘방법’영역의 체계화와 구체화 등 5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중국은 1)어문 교과의 도구성 강조, 2)기본능력의 양성을 강조, 3)수용성 중심의 교과과정, 4)‘평가’영역이 전면적이고 구체화, 5)국어의 실천 활동을 강조, 6)‘고문’교육을 중시 등 6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두 나라의 형행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이해하며 그 특징을 찾아내는데 비중을 두었고 후속 연구에서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education system of a nation is closely connected with its history, tradition, and culture, therefore we can foresee educational change and progress even the future of the nation through its educational system. Korea and China both traditionally value education above everything else. Especially the national language, Korean and Chinese is an essential subject. But the comparative study of two national languages education is not thoroughgoing enough.
In this paper, the comparison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was investigated. It was suggestive to each nation's education to clarify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 The history of each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6 items below. (1) Structure (2) Character (3) Purpose (4) Contents (5) Methods (6) Evaluate. The general feature of the each curriculum was abstracted. It'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1) The structure of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2)a level-divided education (3)The emphasis of creative ability (4) The value of literature (5) The systematization & embodiment of “method” line. On the other hand it's responsible for the Chinese curriculum. (1) The emphasis of textbook teaching (2) The importance of basic ability training (3) The receptive teaching methods (4) The embodiment of “the evaluation”part. (5)The emphasis of practical activity of a national language. (6) The importance of archaic texts education.
This paper was placed a great deal of weight to understand of both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and to find the feature of each curriculum. This is applied to seek the improvement in the following paper.
목차
1. 서론
2. 한·중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 비교
3. 한·중 중학교 국어과 현행 교육과정 비교
4. 한·중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총체적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염상섭 소설의 동정자 인물유형 연구
- 소설의 허구성에 대한 국어국문학과 학생들의 인식과 소설의 시간 재구성
- 국어 문장의 오류 분석
- 상업용 한글 교재 분석을 통한 입문기 문자교육 실태 연구
- 동천 권태응의 단편소설 연구
- ‘친교적 화법’ 수업의 내용과 실행 양상 연구
- 재 말레이시아 한국 학생들의 국어 학습 인식 조사
- 예비국어교사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어 수업 도입부의 동기유발 유형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실과 세계화 전략
- ‘맨드라미’의 어휘사
- 두 층위의 국어지식과 문법 교육
- 가사 삽입체 고소설의 서술방식
-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요소 선정 기준 탐색
- 김유정의 전기적 편린
- 한국 현대시의 에드바르트 뭉크 수용
- 말하기 평가의 요소 설정 연구
- 귀국 초등학생의 쓰기 오류 실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제마무전>의 성립 과정과 구성 원리
- 효과적인 띄어쓰기에 대하여
- 단어와 문장의 오류 실태 분석(1)
- 한국 홍수설화의 신화적 성격과 그 원리
- 단편비디오를 이용한 문화교육의 유효성
- 컴퓨터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 고찰
- 내용 영역 문식력의 특징과 지도 방향
- [기획 특집] 권태응(權泰應)의 미발표작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