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淸虛 休靜의 傳記文學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A Study on Biographical Literature of Cheongheo(淸虛) Hyujeong(休靜)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승호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88호, 395~4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淸虛 休靜은 일찍부터 佛家의 걸출한 시인으로 관심을 끈 바가 있으며 그만큼 淸虛 詩의 연구는 적지 않게 집적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산문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 점에서 본고는 그가 지은 『三老行蹟』과 『三夢錄』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기작가로서 청허의 새로운 면모와 위상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三老行蹟』과 『三夢錄』는 僧傳찬술의 전통이 쇠미해지는 시기에 등장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먼저 그 의의가 돋보인다. 『三老行蹟』은 3명의 고승을 입전한 승전이고 『三夢錄』는 先代의 역사를 포함하고 있는 청허의 自傳에 속한다. 『三老行蹟』에서 주목되는 점은 설화중심적 서술에서 탈피하여 소재와 일화를 현실태로 바꾸어 배치하며 話者이자 작가로서 확인하고 실증할 수 있는 근거리의 인물만을 전기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내용상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를 허물뿐 만아니라 생에 대해 夢中事的 인식을 드러낸다는 점도 이채롭다. 『三夢錄』은 조선에 들어와 지어진 최초의 불승 자서전으로 儒家계열의 전과 마찬가지로 가계, 선대를 확장시키는데 거리낌이 없으며 연대기적으로 생을 제시하던 방식을 택하며 의미있는 부분은 상세하게 형상화하는 대신 무의미한 부분은 과감히 생략하는 것을 본다. 그 외 夢中夢的 세계와 夢遊者的 화자인식을 드러내면서 꿈과 현실을 넘어 진실을 직관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청허가 찬술한 전기문학은 나려시기에서 조선중기로 이어지는 시기의 전기물로 前시대 승전 찬술의 규범을 벗어나 여러 면에서 쇄신적 요소를 내재하고 있어 문학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하겠다.

영문 초록

Cheongheo Hyujeong had ever attracted an interest as an eminent poet in Buddhist family from early. A research on Cheongheo's poem is integrated as greatly as it. Nevertheless, it is the reality that a discussion on his prose was almost not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Hyujeong's new aspect and stature as an autobiographer, by specifically examining and , which belong to Jeon(傳) even among his prose writings. Hyujeong, who had been active when the phenomenon had been obvious in a decline of the tradition in Seungjeonchansul, which had been followed for long along with contraction of Buddhist power, wrote and . The former belongs to Seungjeon(僧傳), which did Ipjeon of 3 high priests. The latter belongs to autobiography, which expresses own lifetime. What is noted in is to be clearly revealed a point of distributing by changing material and anecdote into reality with escaping from narration of centering on tale and of having it as subject of autobiography only for the character in a short distance available for confirming and verifying as a speaker and a writer. Even a point is also interesting as saying that both works are embodying life as Mongjungsa(夢中事:remembrance of dream), as well as tearing down boundary between the mundane world and the rising in the world in light of contents. As is the first Buddhist-monk autobiography, which was composed with entering Joseon, it has no hesitation in expanding lineage and the predecessor same as Jeon(傳) in Yuga(儒家) order, and is describing with a way of boldly omitting insignificant part instead of minutely embodying significant part, with escaping from a method of having suggested life chronically. In addition, it is pointing to autobiographical writing of Simun teaching by frequently inserting Odo poem. was separately made a print from a wood block, and is being delivered with numerous different versions. Furthermore, in a sense that the biographical literature written by Hyujeong is playing a role of a model in Seongjeon in Joseon period, with breaking from Seongjeon in the Three States and Goryeo period, which is developed centering on tale, its significance based on literary history cannot be ignored.

목차

1. 머리말
2. 『三老行蹟』의 서술적 특성
3. 『三夢錄』의 서술적 특성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호. (2011).淸虛 休靜의 傳記文學 연구. 새국어교육, (), 395-418

MLA

김승호. "淸虛 休靜의 傳記文學 연구." 새국어교육, (2011): 395-4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