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이용수 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of Errors in Korean Learners’ Postposition and Ending Us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종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0호, 315~3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학습자 집단은 중국인 학습자들이다. 많은 중국인 학습자들은 매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들이 마련되어 한다. 한국어는 교착어이기 때문에 고립어인 중국어와 그 차이점이 많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은 첨가어적 특성을 잘 나타내주는 조사와 어미 사용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을 분석하여 조사와 어미에 나타난 오류를 살피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와 어미 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작문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도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learners’ group that takes up the greatest portion among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is Chinese learners’ group. Chinese learners increase constantly year after year, so in the actual spo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should establish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for them. Since Korean is agglutinative language, it shows many typological differences from Chinese, the isolating language. Due to these differences,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using postpositions and endings showing the features as agglutinative languag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s Chinese Korean learners’ writings and examines their errors of using postpositions and endings so that it can be used as data in the actual educational spots. These kinds of researches can be used as data to fi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postpositions and endings targeted to Chinese learners and also can be the foundation to develop writing textbooks.
목차
1. 서론
2. 분석 대상 및 최근의 연구
3. 작문에 나타난 조사 오류
4. 작문에 나타난 어미 오류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외 언어 보급 정책 비교를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 방안 연구
-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의 정보 텍스트에 대한 인식 연구
-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시각 자료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 고찰
-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과 지도 방안
-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
-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