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Analysis of writing tasks for classes in college students' majo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건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0호, 149~1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전공 영역에서 필요한 쓰기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를 분석해 보았다. 6개 대학의 7개 계열에 해당하는 학과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였고, 여기서 교수자가 제시한 요건들을 토대로 쓰기 과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과제에 대한 추가 정보 없음’, ‘인지적 전략’, ‘쓰기와 관련한 수행’, ‘글의 내용 강화의 방법’, ‘매체’ 부문의 특성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각 계열별로 쓰기에서 중시하는 내용 및 장르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공 쓰기 과제가 지닌 특성에 비추어 대학 학습의 실체를 이해하고 학생들의 전공 쓰기 수행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d writing tasks for classes in college students' majors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traits of writing in college students' major field of study. Class syllabuses from majors in seven departments of each six universities were gathered and the traits of writing tasks were analysed on the basis of requirements lecturers suggest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raits of writing tasks were categorized into 'no more information about tasks', 'cognitive strategies', 'performances related with writing', 'method to support the contents of papers' and 'media'. And the critical contents and genres each departments emphasize were different. Grounded on the traits of the writing tasks for classes in students' majors, we need to understand the substance of learning in colleges and to search for solutions to help learners' major area writing.
목차
1. 머리말
2. 교과 문식성과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
3. 쓰기 과제 수집 및 분석 방법
4. 쓰기 과제 분석 결과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외 언어 보급 정책 비교를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 방안 연구
-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의 정보 텍스트에 대한 인식 연구
-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시각 자료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 고찰
-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과 지도 방안
-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
-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