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이용수 23
- 영문명
- Conceptualization and Implication of Textuality-based Microscopic Read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순 변혜경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0호, 285~31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습자들은 읽기를 명시적인 의미 이해나 획득 차원으로 인식하거나 책 읽기의 방법에 대한 무지로 의미 파악을 어려워하고 심지어 텍스트 읽기를 거부하는 경우도 많다. 교사들 또한 대부분 읽기에 대한 이해가 도구적 차원에 머물고 있어서 탈맥락화되고 분절적인 지도가 지속되고 있으며, 학습자들에게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읽기 방법을 지도하기 위한 자원이 부족하다. 본고는 읽기를 ‘미시적 읽기’라는 개념으로 인식함으로써 읽기에 대한 이러한 도구적, 소비적, 조작적, 탈맥락적, 분절적 인식을 넘어서 독서 교육의 지향점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미시적 읽기는 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하여 미시적 차원의 의미를 생성시키는 활동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미시적 읽기는 텍스트를 독자를 향해 열려있는 것으로 본다. 텍스트는 텍스트․콘텍스트적 자원들을 통해 그 의미가 얼마든지 다르게 해석되고 다시 씌어질 수 있는 것이다. 2. 미시적 읽기는 텍스트의 타자성을 강조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읽기 활동을 충실히 할 것을 강조하고 텍스트와 학습자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와 의미를 생성시킬 것을 의도한다. 3. 미시적 읽기는 읽기의 방법으로서 텍스트의 텍스트성을 강조한다. 텍스트성은 결속 구조, 결속성, 의도성, 용인성, 정보성, 상황성, 상호텍스트성을 말한다. 그러므로 미시적 읽기는 텍스트의 명시적 의미와 다양한 함축적 의미를 균형 있게 접근하는 방법론이다. 4. 미시적 읽기는 읽기의 대상으로서의 텍스트에 장르와 길이의 차이를 독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생성하기 위해 투여하는 개입의 정도 차이로 간주한다. 5. 미시적 읽기는 텍스트를 독자의 ‘개입’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지속적인 개입을 통해 독자는 다양한 해석공동체와 생산적으로 소통하고 독자 자신과 해석공동체의 문화를 역사화하고 다채롭게 한다. 6. 미시적 읽기는 읽기의 신체적 국면을 포함하여 실질적인 읽기 경험의 수행, 수행들의 그 누적적 측면을 강조한다. 이는 읽기의 감각과 스타일을 형성하게 한다. 이러한 미시적 읽기라는 개념은 읽기 교육의 차원에서 읽기에 대한 편협한 인식을 넘어서게 하고, 읽기가 독자의 읽기-주체화의 과정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학습자가 능숙하며 자율적인 주체로 설 수 있도록 교육의 적극적인 개입을 추동하여,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탈맥락성과 분절성을 지양하는 교육, 인지적 차원과 정의적 차원을 포괄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사유와 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함의를 가진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Most students usually see 'reading' as first-level meaning, and the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ext, because they have no idea of any way of reading. Futhermore, they are not willing to read. Meanwhile, in the case of teachers, they regard reading just as a means of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or high-level thinking ability, so teaching of reading results in being de-contextualized and segmentalized. Also, they feel deficiency in educational resources for explicit, systematic teaching. This essay aims to search for possibility that we can overcome these problems, by taking a new conception of “Texuality-based Microscopic Reading”, which is expected to change the common sense about reading by providing a much more extended, significant, socialistic and cultural, and productive perspective. Therefore this essay intends to conceptualize to some concrete degree, and then to prove its significance in reading education. First, Textuality-based Microscopic Reading has several meanings as follows:1. It means that as for text, it is oriented to reader. Text can be interpreted diversely by contexts and can be also always rewritable. 2. It emphasizes on 'Otherness' of text. It leads reader to read the text faithfully, which can mak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reader, and as a result produce significant meanings articulated with personal and social life. 3. It accentuates 'Textuality of text'. Textuality is embodied by Cohesion, Coherence, Intentionality, Acceptability, Informativity,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which are main concepts of Textlinguistics. 4. It suggests that the text genre and length of text are considered as a matter of degree of intervention projected, which produces the multilateral, productive meanings. 5. It means that as for reader, he/she has to intervene the text. By continuously trying to understand it, reader can communicate with multifarious interpretation-community. Also, reader can historicize his/her and reading-community culture and make sociocultural diversity. 6. It focuses on the aspect of reader's body, and the real experience of reading as performative, accumulative level. So reader can acquires a kind of reading-sense and reading-style. In addition, Textuality-based Microscopic Reading has some connotations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t helps teachers not only recognize reading as the persistent process of becoming the subject of reader, but also able to practice positive, explicit, systematic, contextualized, synthesized teaching of reading, and it also makes teaching of reading embrace cognitive-affective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읽기와 읽기 지도 양상
Ⅲ.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
Ⅳ. 미시적 읽기의 교육적 함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외 언어 보급 정책 비교를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 방안 연구
-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의 정보 텍스트에 대한 인식 연구
-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시각 자료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 고찰
-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과 지도 방안
-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
-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