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과 지도 방안
이용수 26
- 영문명
- Manifes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uggestion Text Writing and Teaching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은 전은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0호, 171~2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건의문의 장르 관습을 밝히고,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을 살펴 건의문 쓰기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건의문은 필자가 개선이 필요한 문제 상황에 대해 의견을 제안하여 독자로 하여금 문제를 해결하도록 행동 변화를 요구하는 글이다. 건의문의 필자는 문제를 발견하고 그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이며, 독자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건의문은 처음 부분에서 받을 사람, 인사, 자기소개, 글을 쓴 동기와 목적을, 가운데 부분에서 문제 설명과 청원, 청원의 근거를, 끝부분에서 인사, 날짜, 필자 서명을 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건의문은 통일성과 타당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하며, 건의문의 표현은 간결성과 명료성, 정중성을 갖추어야 한다. 고등학생들의 실제 글쓰기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건의문의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 조직에서는 타당성을, 표현에 있어서는 명료성과 정중성을 갖추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앞서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의문 쓰기의 지도 방안과 지도상의 유의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eaching methods by identifying the genre customs of suggestion text and by looking into manifes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uggestion text writing. Suggestion text is a writing suggesting writer's opinion about problems needed to be improved for readers to change their behaviors to solve the problems. Suggestion text is a writing to solve the problem or improve the situation when the writer thinks it necessary to improve it. That is, the writer of suggestion text is the person who finds problems and tries to solve them and the reader has the ability to solve them. Suggestion text consists of three parts - introduction, body and ending. The introduction part includes the receiver of the text, greetings, self-introduction and the purpose of the text. In the body, there are explanations about the problem, asking and reasons of the asking. Lastly, in the ending part there are concluding remarks, dates and the writer's signature. We should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 considering unity and validity in writing suggestion text and the expression should be concise, clear and pol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composition, it turned out that they didn't understand the structure of suggestion text. And they have difficulty in making the content valid and expression clear and polite. Therefore, we should focus in these parts in teaching students how to write suggestion tex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rguments, teaching methods of suggestion text writing and useful cautions for teaching are suggested.
목차
Ⅰ. 머리말
Ⅱ. 건의문의 장르 관습
Ⅲ.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
Ⅳ. 건의문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 방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외 언어 보급 정책 비교를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 방안 연구
-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의 정보 텍스트에 대한 인식 연구
-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시각 자료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 고찰
- 고등학생의 건의문 쓰기 양상과 지도 방안
-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
-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